뷰페이지

김정은 이복형 김정남 ‘독액 피살’

김정은 이복형 김정남 ‘독액 피살’

장진복 기자
입력 2017-02-15 02:06
업데이트 2017-02-15 02: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말레이 쿠알라룸푸르 공항서 얼굴에 스프레이 투척


현지 경찰 오늘 부검 예정…여성 용의자 2명은 도주
김정은, 입지 강화하려 암살 관측… 정부 “확인 중”


이미지 확대
지난 13일 말레이시아에서 북한 공작원으로 추정되는 여성들에 의해 피살된 것으로 알려진 북한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의 장남이자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이복형인 김정남이 2011년 1월 싱가포르 한 호텔에서 일본 도쿄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도쿄신문 제공
지난 13일 말레이시아에서 북한 공작원으로 추정되는 여성들에 의해 피살된 것으로 알려진 북한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의 장남이자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이복형인 김정남이 2011년 1월 싱가포르 한 호텔에서 일본 도쿄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도쿄신문 제공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장남이자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이복형인 김정남(46)이 지난 13일 말레이시아에서 피살됐다고 정부 소식통이 14일 밝혔다.

김정남은 현지시간 오전 9시쯤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공항 제2청사에서 오전 10시 이륙하는 마카오행 항공편을 이용하려다 신원 미상의 여성 2명에게 독살된 것으로 알려졌다. 용의자 2명은 범행 직후 택시를 타고 도주했으며, 말레이시아 경찰이 추적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영국 BBC와 일본 교도통신은 말레이시아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김정남이 얼굴에 스프레이가 뿌려져 고통스럽다며 공항 의료실을 찾았고, 푸트라자야 병원으로 이송되던 중 숨졌다고 보도했다. 말레이시아 당국은 정확한 사인을 규명하기 위해 부검을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남은 김정일의 장남으로 한때 후계자로 꼽히던 인물이다. 그러나 김정일 사후 후계 구도에서 이복동생인 김정은에게 밀려난 뒤 끊임없이 신변에 위협을 받았다. 김정남은 2001년 위조 여권을 가지고 일본에 입국하려다 적발된 사건 이후 권력에서 밀려나 마카오와 중국 등지를 옮겨가며 ‘자의 반 타의 반’의 해외 생활을 해 왔다. 김정은 집권 체제가 굳어지기 전 김정남은 북한의 권력 세습을 비판하기도 했다. 때문에 김정은이 자신의 절대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잠재적 경쟁자인 이복형을 암살했다는 관측이 유력하게 제기된다.

김정남은 2011년 김정일이 사망했을 때도 김정은이 두려워 아버지 장례식에 참석하지 못한 데 이어 2013년 고모부 장성택이 처형된 후에는 ‘망명설’까지 돌았다. 김정남은 김정일과 그의 본처인 여배우 성혜림 사이에서 1971년에 태어났다. 어머니 성혜림이 병을 치료하기 위해 러시아 모스크바에 오래 머물면서 고모 김경희의 보살핌을 받으며 성장했다. 김경희·장성택 부부가 김정남의 후견인 역할을 해 온 만큼 장성택의 숙청이 김정남과 연관이 있다는 주장도 있다. 김정남은 최근 내연녀가 있는 곳으로 알려진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를 오가며 지낸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남의 피살로 아들 김한솔(22)군의 신변 역시 위험에 처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우리 정부도 김정남의 피살에 대해 경위 파악에 나섰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외교·안보 라인으로부터 김정남 피살과 관련한 보고를 직접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김정남의 피살 소식이 전해지자 경찰이 국내 탈북 인사의 신변보호를 강화하기로 했다. 경찰청 관계자는 “지난해 태영호 전 영국 주재 북한대사관 공사가 입국한 이후 주요 탈북 인사들에 대한 신변보호 수준을 대폭 높였다”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신변보호를 한층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현재 경찰이 24시간 신변보호 등 높은 수준의 관리체제를 가동하는 탈북 인사는 10명 이상인 것으로 전해졌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7-02-15 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