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北미사일 공조 불가피한 아베… 주한 日대사 복귀시킬까

北미사일 공조 불가피한 아베… 주한 日대사 복귀시킬까

이석우 기자
입력 2017-02-13 22:26
업데이트 2017-02-13 23: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트럼프와 회담 이후 행보는

미·일 정상회담의 순조로운 마무리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등으로 한·일 관계 등 일본 외교 행보에 다시 변수들이 커졌다. 당장 경색 국면 속으로 빠져든 한·일 관계가 북한에 대한 공조 필요성 속에서 변화 계기를 맞았다. 한 달 넘은 주한대사 소환 조치가 대북 공조를 위해 일단 풀릴 수 있는 타이밍을 맞은 셈이다. 13일 밤 귀국한 아베 신조 총리의 결정이 주목되고 있다.

일본 정치권 등에서도 그동안 “너무 오랫동안 주한대사를 본국에 붙잡아 놓고 있는 것 아니냐”, “한·일 관계를 이렇게 끌고 갈 것이냐”는 등의 지적이 일었다. 그러나 “국민을 설득할 명분이 없다”, “한국 측이 먼저 성의 있는 행동을 보여야 한다”는 목소리를 넘지 못했다. 이런 가운데 이뤄진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한국과 미국, 일본은 3국 공동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긴급회의를 요청하는 등 관계 당국자 공조를 유지하며 대응하고 있다.

아베 신조 정부의 대중국 및 대러시아 관계도 탄력을 받게 됐다. 미·일 정상회담이 무역통상 갈등 현안 등의 충돌 없이 순조롭게 끝나게 돼 아베 총리의 외교적 활동 공간에도 여유가 생겼기 때문이다.

아베 정부는 우선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안보 확약 등 동맹 강화의 성과 속에서 보다 자신감 있게 대중국, 대러시아 등 주요 주변국들과의 관계를 전개해 나갈 수 있게 됐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일 정상회담 직전인 지난 10일(현지시간)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과 전화통화를 하며 ‘하나의 중국’ 원칙을 인정하는 등 유화정책도 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일 정상회담 직후 공동 기자회견에서도 “미·일 동맹은 아태 평화에 기여하고 있다”면서 일본과 중국의 건설적 관계 구축을 권고하기도 했다. 당선 이후 중국 때리기에 나선 트럼프 대통령의 눈치를 보며 일방적인 추종 외교를 펴 왔던 아베 정부의 대중 관계에도 여지가 넓어진 셈이다. 지난해 12월 러·일 정상회담 이후 추동력이 떨어졌던 북방영토 문제를 둘러싼 협상과 일본인의 북방영토에 대한 자유 방문 협상 등도 본격화할 수 있게 됐다.

트럼프 정부가 러시아에 대해 이례적으로 우호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어 아베 정권으로서는 더이상 미국 눈치를 볼 필요도 없어졌다. 앞서 대러 문제를 둘러싸고 아베 정권과 버락 오바마 정권은 신경전을 벌여 왔었다.

도쿄 이석우 특파원 jun88@seoul.co.kr
2017-02-14 18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