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말빛 발견] 닭고집, 쇠고집, 황고집/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닭고집, 쇠고집, 황고집/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7-02-01 22:32
업데이트 2017-02-02 00: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닭은 새로운 시작을 알린다. 시인 이육사도 ‘광야’에서 “‘까마득한 날에/하늘이 처음 열리고/어디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라고 노래했다. 세상이 처음 시작되는 날에도 닭이 있어야 했나 보다. 이렇게 오랫동안 우리와 함께해 온 닭은 부지런을 상징하는 동물로도 여겨졌다. 거기에다 총명함까지 갖춘 동물이기도 했다.

한데 닭이 고집도 만만치 않은 모양이다. 얼마나 고집이 세다고 여겼으면 ‘닭고집’이란 말이 생겨났을까 싶다. ‘그 친구 닭고집은 아무도 못 당한다’에서 ‘닭고집’은 고집이 센 사람을 가리키는데, 놀림의 뜻도 들어 있다. 센 고집을 동물에 빗댄 말로는 ‘쇠고집’이 먼저일 텐데, ‘닭고집’도 만만치 않은 것이다. ‘쇠고집과 닭고집이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다. 소나 닭이나 고집 세기가 도긴개긴이라는 말이다. 이렇듯 ‘고집’이 들어간 표현들에는 대부분 부정적인 의미가 덧붙어 있다. ‘고집’의 사전적 의미는 ‘자기의 의견을 바꾸지 않고 굳게 버티는 성미’이니 부정적이지는 않다. 그러나 ‘고집을 부리다’, ‘고집을 피우다’처럼 ‘고집’은 부정적으로 비치는 예가 많다. 가지를 친 고집의 말들도 거의 그렇다. 생고집, 땅고집, 왕고집, 옹고집, 외고집 같은 말들은 터무니없이 지나친 고집들이다.

‘황고집’은 ‘평양 황고집’에서 유래했는데, 원칙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되돌아볼 만하다. 조선시대 평양에 별명이 황고집인 사람이 있었다. 서울에 갔다가 친구 초상 소식을 들었지만, 친구 죽음 때문에 서울에 온 게 아니라며 평양으로 다시 갔다가 조문을 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이경우 어문팀장 wlee@seoul.co.kr
2017-02-02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