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덕일의 역사의 창] 그들만의 리그와 촛불

[이덕일의 역사의 창] 그들만의 리그와 촛불

입력 2017-01-20 17:52
업데이트 2017-01-20 18: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덕일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장
이덕일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장
1945년 8월 15일 일왕 히로히토는 ‘무조건’ 항복했다. 그런데 이 소식을 들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김구 주석은 “그것은 내게 기쁜 소식이라기보다 차라리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지는 듯한 일이었다”고 한탄했다(김구, ‘백범일지’). 평생을 조국 광복에 바친 노혁명가가 일제 패망을 기뻐하지 못했던 이유는 광복군의 국내 진공 작전을 목전에 두고 일제가 항복함으로써 연합국의 일원으로 종전을 맞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귀국 후의 정국 상황 전개에 대한 불안감이 생겼던 것이다. 한 개인은 물론 한 민족·국가가 자기 운명을 남에게 맡겨야 할 때 벌어지는 일을 백범은 온몸으로 겪었다. 그래서 일제가 패망했지만 대한민국의 운명을 대한민국 사람들이 결정한다는 당연한 상식이 배신당할 수도 있겠다는 우려를 느꼈던 것이다.

임정이 충칭(重慶)을 떠날 때 쟝제스 총통을 비롯한 중국 정부의 최고위 인사들이 극진한 환송식을 열어 주었고, 중국 공산당의 혁명군사위원회 부주석 저우언라이(周恩來)와 둥비우(董必武) 등도 임정 국무원 전원을 초청해 성대한 송별연을 열어 주었다. 이런 분위기들이 임정 요인들에게 귀국하면 집권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하게 했는지도 모른다. 임시정부 내의 여당이었던 한국독립당(한독당)은 8월 28일 충칭에서 제5차 대표자 회의를 개최하고 귀국 후의 정치 노선을 결정했다. 기본 강령인 당강에서 민주공화국이란 전제하에 계획경제와 국비교육 등을 명시했다. 행동 강령인 당책에서는 전면적 지방자치제의 실시로 중앙과 지방의 균권화를 추구했다. 일제와 친일매국 세력들이 강탈한 광범위한 토지를 몰수해 국유로 삼고 극빈 농민에게 우선으로 분급한다는 혁명적 토지개혁을 천명했다. 모든 교육은 국비로 수행하고, 매국의 적과 독립운동을 방해한 자를 징치하겠다고 선언했다.

한독당의 당강과 당책은 대한민국의 운명을 대한민국 국민 스스로 결정할 수 있었다면 실제로 실현됐을 모습이었다. 그러나 일제의 무조건 항복에 기뻐하기보다 탄식했던 백범의 우려가 현실이 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대한민국은 ‘광복’이란 말이 무색하게 강대국들의 요리 대상으로 전락했다. 대표적인 예가 임정 요인들의 귀국 날짜였다. 미국은 1945년 10월 13일 태평양 방면 최고사령관 맥아더에게 “자칭 한국 임시정부 혹은 유사한 정치적 조직에 대해서도 그 존립, 조직 및 활동은 허용하더라도 이를 공식적으로 인정해서는 안 될 것”이라면서 “그러한 조직의 성원을 개인 자격으로는 활용할 수는 있을 것”이라고 지시했다. 그래서 백범 김구를 비롯한 임시정부 요인들은 개인 자격으로 귀국해야 했다.

김구를 비롯한 임정 요인들은 국경을 맞대고 있던 중국에서 11월 23일 개인 자격으로 귀국했는데, 정기 항로도 없던 미국의 이승만은 그보다 한 달 반 전인 10월 16일 귀국해 있었다. 게다가 ‘신조선보’(新朝鮮報), ‘자유신문’ 등에 따르면 미국의 군용 비행기 편으로 이승만이 10월 12일 도쿄에 도착하자 맥아더는 한국의 미 점령군 사령관 하지를 불러 ‘맥아더, 하지, 이승만’ 3자 회담을 개최했다. 하지는 이런 사실을 숨기고 11월 2일 참모회의 석상에서 “이승만이 서울에 도착해 깜짝 놀랐다”고 천연스레 거짓말을 했다. 이후 해방 정국은 대한민국 국민이 아니라 맥아더·하지·이승만이 도쿄에서 구축한 그들만의 리그에 의해서 요리돼 갔다.

그래서 사회주의 계열은 말할 것도 없고 민족주의 계열의 독립운동 세력들도 정계에서 모두 축출됐다. 국민과는 유리된, 투표 날 하루만 유권자가 주인인 한국식 대의정치의 뿌리는 여기에 있는 것이다. 1000만이 넘는 시민들이 들고나온 촛불은 한국식 대의정치에 대한 파탄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이재용 삼성 부회장의 영장 기각에서 보듯이 그들만의 리그는 계속된다. 이 나라같이 대다수 국민의 운명이 소수의 ‘그들’에 의해 결정되는 나라를 찾기도 쉽지 않다. 이제 촛불의 진로를 양에서 질, 즉 자기의 운명을 자기가 결정하는 직접민주주의의 길로 어떻게 전환할지 고민할 때가 됐다. 해방된 조국에 돌아가 펼칠 당강과 당책을 고민하던 한독당 대표자회의의 마음으로 이 나라의 썩어 빠진 현실을 되돌아보고, 어떻게 맑게 할지 고민할 때다.
2017-01-21 2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