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좌를 잃은 두 아이의 엄마 강인해져야 했던 그녀의 삶

재키는 재클린 케네디의 애칭이다. 그녀는 남편 존 F 케네디가 미국 35대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서른한 살에 퍼스트레이디가 됐고 서른네 살에 그 자리에서 내려왔다. 1963년 11월 22일 댈러스에서 존 F 케네디가 암살됐기 때문이다. 영화 ‘재키’는 바로 여기서부터 재클린의 삶을 조명한다. “비탄에 잠겨 있었지만 그녀는 알고 있었다. 누군가는 그의 이야기를 끝내야 한다는 것을. 그녀는 남편을 하나의 이미지로, 하나의 전설로 상징화시킨다. 그리고 스스로를 ‘재키’라는 이름의 아이콘으로 전 세계에 인지시킨다. 20세기, 가장 이름을 많이 알린 여인 중 한 명이지만 우리는 그녀에 대해 알지 못한다.” 파블로 라라인 감독의 말이다.

‘재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실제로 칠레 출신의 라라인은 재클린에 대해 거의 아는 것이 없었다. 이것은 다시 말해 미국인이라면 가질 수밖에 없는 그녀에 대한 선입견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웠다는 뜻이기도 하다. 영화를 준비하면서 라라인은 재클린을 조금씩 알아 간다. 그러니까 이 작품은 그가 모자이크처럼 그녀를 재구성한 해석의 산물이다. 중간중간 또 다른 플래시백이 쓰이기는 하지만 재클린을 보다 세밀하게 재현하기 위해 라라인은 영화적 시간을 크게 둘로 나눈다. 하나는 존 F 케네디의 사망부터 장례식까지의 시간, 다른 하나는 재클린이 기자를 불러 그때의 상황을 인터뷰하는 장례식 이후의 시간이다. 이러한 두 가지 시간을 교차하면서 영화는 재클린의 캐릭터를 입체적으로 보여 준다.

라라인이 언급한 대로 재클린이 잃은 것은 남편만이 아니다. 퍼스트레이디라는 ‘왕좌’도 잃었다. 그녀는 존 F 케네디를 남편으로서 애도하는 동시에 정치인으로서 우상화하는 데 애썼다. 재클린은 이미지메이킹에 능했다. 그렇지 않으면 지금까지 쌓아 온 것들이 금방 무너진다는 사실을 그녀는 잘 알고 있었다. 게다가 재클린은 겨우 30대 중반이었다. 어린 두 아이를 보살피며 살아야 할 날이 한참 남아 있었다. 영화에도 나오지만 존 F 케네디의 죽음 직후 그녀를 사로잡았던 근심거리 중 하나는 앞으로 빈곤하게 살지도 모른다는 경제적 불안이었다. 그로부터 5년 뒤 재클린이 그리스 대부호 오나시스와 재혼한 것은 그런 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선택이다.

재클린은 보이는 것과 보이고 싶은 것의 틈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한 사람이었다. 자신을 인터뷰하는 기자가 메모한 문장을 하나하나 검토하고 편집권을 행사하는 등 여러 사례에서 이런 면모가 드러난다. 정치적 성패야 어떻든 간에 존 F 케네디와 재클린이 호감의 아이콘으로 대중의 기억에 남게 된 데는 그녀의 공이 컸다. 그러나 보이지 않는 것과 보이고 싶지 않은 것의 괴리 또한 재클린이 감당해야 할 몫이었다. 모든 결단에 따르는 영광과 책임-상처를 그녀는 회피하지 않았다. 재클린은 옳았다기보다 강인한 사람이었다. 그녀를 연기한 내털리 포트먼은 그것을 정확히 알고 있었다. 25일 개봉. 15세 관람가.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