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韓 3천203만 vs 日 114만…AI 살처분 28배 많다

韓 3천203만 vs 日 114만…AI 살처분 28배 많다

입력 2017-01-19 11:21
업데이트 2017-01-19 11: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본, 사육밀도 낮고 방역인력은 2배 많아”

사상 최악의 피해를 낸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사태를 계기로 우리나라의 방역 시스템 전반을 뜯어고쳐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 살처분한 가금류 마릿수가 비슷한 시기 AI가 터진 일본보다 28배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AI 방역 제도개선 지원 태스크포스(TF)’는 19일 일본 현장을 방문 조사한 결과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농식품부는 해마다 AI 발생 피해가 반복되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방역체계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15일 TF를 꾸렸으며, 같은 달 25일부터 30일까지 일본 농림수산성과 AI 발생지인 아오모리현(靑森縣), 현지 양계협회 등을 방문했다.

방문 조사에는 농촌진흥청, 농림축산검역본부, 대한양계협회, 농촌경제연구원 등 관계자도 참여했다.

◇ 사육밀도 낮은 일본…살처분 피해 28배 차이

조사단에 따르면 일본은 지난해 11월 28일 일본 아오모리현 농가에서 처음으로 AI 확진 판정이 나온 이후 현재까지 전국 47개 도도부현(都道府縣·광역자치단체) 가운데 6개 지역에서 총 8건이 발생했다.

살처분된 가금류 마릿수는 산란계 100만 마리를 포함해 15일 기준 총 114만 마리에 그쳤다.

지난해 11월 16일 전남 해남과 충북 음성에서 최초 AI 의심 신고가 접수된 지 두 달여 만에 3천203만 마리가 살처분된 것과 극명하게 차이가 난다.

조사단은 이는 기본적으로 한일 양국 간 가금류 사육 환경 차이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일본의 경우 닭 사육 마릿수가 우리나라보다 2배 이상 많지만, 국내와 달리 100만 마리 이상의 대규모 가금사육단지는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만큼 집단 사육지가 적어 사육밀도가 낮다는 의미다.

실제 아오모리현의 AI 발생농가의 경우 10㎞ 이내에 농가가 7곳에 그치지만, 우리나라 전북 김제의 경우 10㎞ 내 농가가 410곳에 달했다.

이와 함께 ‘AI 불쏘시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오리 사육 마릿수가 50만 마리에 그치는 것도 우리나라(877만 마리)와 차이가 있는 대목이다.

오리의 경우 바이러스에 감염돼도 증상이 바로 나타나지 않고, 배설물 등을 통해 바이러스를 대량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이같은 산업구조의 차이로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AI 방역에 유리한 측면이 있었다고 조사단은 설명했다.

◇ 두배 많은 방역인력에 즉각 총력전…우리나라는 ‘늑장대응’이 화키워

하지만 사육 환경과 별개로 방역 시스템의 경우 기본적인 인력 규모와 대응 절차 등 전반적인 부분에서 일본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경우 소비안정국 동물방역과(45명), 동물 검역소(416명), 동물위생연구소(369명), 동물의약품검사소(79명) 등 중앙정부의 방역 관련 담당 인력이 900명을 웃돌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농식품부 축산국 내 방역총괄과 및 방역관리과(22명), 검역본부(424명) 등 446명에 그치고 있다.

지자체 방역인력 역시 일본의 경우 1개 현당 44명으로 수의사만 2천여 명에 달해 우리나라(시·도당 22.5명)의 두 배 많다.

국내 AI 사태에서 일부 지자체에 방역 업무를 총괄할 수의사가 아예 없는 곳도 있는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됐던 점을 고려하면 부족한 인력이 피해를 더 키웠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운 셈이다.

또 AI 발생 시 대응 방식에서도 일본은 총리를 본부장으로 내각 AI 대응본부와 농림수산성 방역대응본부, 발생 도도부현별로 대책본부를 설치해 운영한다.

살처분 정책도 24시간 내 살처분, 72시간 내 매몰을 원칙으로 사전 인력을 확보해놓되 일정 규모 이상 넘어가면 자위대를 동원한다.

실제 일본은 지난해 11월 28일 AI가 발생하자 2시간 만에 아베 총리가 위기관리센터를 설치하며 진두지휘한 바 있다.

농가 최초 신고 이후 26일이 지나서야 범정부 차원의 AI 관계장관회의가 처음 열렸던 우리나라와 대조적이다.

여기에 우리나라는 관심→주의→경계→심각 등 4단계별 위기경보로 대응을 달리하다 보니 발생 한 달이 지나서야 ‘심각’ 단계로 격상돼 늑장대응이란 비판을 받았다.

이 밖에도 이상증상 등 질병 발견시에만 신고를 하게 돼 있는 우리나라와 달리 일본은 AI 사전 예방을 위해 매달 농가에서 가금류 폐사율을 정기적으로 보고하도록 돼 있고, 백신은 한일 양국 모두 지침상 사용이 가능하도록 돼 있지만 실제 백신 비축은 일본(H5N1형 410만 마리분)만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일본에서도 백신은 오히려 AI를 확산할 수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해 실제 사용은 현 단계에선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조사단은 덧붙였다.

농식품부는 이번 방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AI 방역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