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치솟는 물가 ‘비상’] “물가 상승 길면 경기 침체… 공급 확대 필요”

[치솟는 물가 ‘비상’] “물가 상승 길면 경기 침체… 공급 확대 필요”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7-01-17 22:26
업데이트 2017-01-17 23: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 ‘물가회의’ 4년 만에 부활

서민 물가 안정, 올 핵심 목표
“유가 탓 수입 물가 관리 필요”


물가를 바라보는 정부의 시선과 태도가 사뭇 달라졌다. 전에는 ‘인플레이션이 아니라 디플레이션이 걱정’이라며 일부 품목의 가격 상승에도 느긋한 태도로 일관하더니 연말연시를 거치면서는 물가 상승세를 잡아야 한다고 연일 목청을 높이며 팔소매를 걷어붙였다. 지난해 말 관계부처 차관보급으로 구성된 물가 비상대응팀을 꾸리더니 최근에는 박근혜 정부 들어 없앴던 관계장관회의를 4년 만에 다시 살리기로 했다. 정부가 ‘물가 파이터’를 자처하고 나선 데는 실질소득의 정체가 계속되는 가운데 물가 상승세만이라도 고삐를 잡아야겠다는 인식이 바탕에 깔려 있다. 탄핵정국의 와중에 정부가 민생을 돌본다는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데 물가가 특히 효과적이라는 계산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시한부 내각에서 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이 물가관리 정도밖에는 없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일부에서 나온다.

17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19일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주재하는 경제현안점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가 열린다. 장관급 물가대책회의가 열리는 것은 2013년 2월 현 정부 출범 이후 처음이다. 부처 수장들이 직접 물가를 챙긴다는 것은 그만큼 정부가 현 물가 급등세를 심상치 않게 본다는 뜻이다. 유수영 기재부 물가정책과장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1%를 기록하고 올해는 1.6%로 전망돼 물가관리 목표치인 2%를 밑돈다”면서 “전반적인 물가는 우려할 수준이 아니지만 서민 체감 물가가 높아 경제 주체의 심리 안정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서민물가 안정은 정부의 올해 핵심 정책 목표다. 경제부처 관계자는 “탄핵정국 상황에서 원로와 전문가들이 되풀이한 말이 ‘새로운 일을 벌일 생각을 하지 말고 기존에 하던 정책을 마무리하면서 민생을 우선 챙겨야 한다’는 것”이라면서 “물가는 관리하기 까다롭고 잘못하면 욕먹기 쉬운 이슈이지만 반대로 손 놓고 일 안 한다는 비판에서 벗어날 수 있는 좋은 기회일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지금과 같은 불황 국면에서의 물가 상승은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경기가 좋을 때 물가가 올라가는 것은 자연스럽지만 경기가 부진한 가운데 물가가 오르는 것은 경기 악화를 부채질한다는 것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생계와 직결되는 식료품과 공공요금의 가격이 오르면서 가계 소비가 더 얼어붙을 수 있다”면서 “생필품 물가는 통화정책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정부가 공급 확대를 통해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백다미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수요 증가로 물가가 오르면 경제가 소비 중심으로 살아난다고 볼 수 있으나 최근 소비자 물가 상승은 공급 원인이 작용한 것”이라면서 “2년간 하락했던 유가가 올해 상승세로 반전하면서 생산 및 수입 물가마저 오르면 앞으로 정부는 체감 물가가 아닌 물가지수 자체와 싸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01-18 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