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곳’의 문제를 중시하는 시의성과 ‘결론보다는 질문’을 던지는 문제제기 능력을 기준으로 총 21편 투고작 중에서 4편을 집중적으로 검토했다. 신춘문예의 미덕인 새로운 시각과 도전적인 패기를 확인하려는 심사이기도 했다.
‘사소한 것들의 공동, 우리가 기억하는 시간의 곁’(이병국)은 윤성희와 김금희의 최근 소설을 중심으로 사소한 것이나 작은 것들의 연대를 통한 부드러운 공동체의 가능성을 차분하게 탐색하고 있으나 결론이 당위론적이었다.
‘어리석은 자들의 발걸음’(문종필)은 김남주, 백무산, 송경동의 시들이 전해 주는 전사(戰士)적 문학을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활력이 매력적이었지만 논의가 다소 산만했다. ‘아직 모르는 몸과 그 적(敵)들’(정기석)은 김언 시에 나타난 몸의 불구성을 근대적 사유의 지배에 저항하는 담론으로 부각시키는 과정에서 개성적 시각이 좀더 보완되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았다.
당선작으로 결정된 ‘해부된 육체:부분이 발설하는 단서들’(김효숙)은 정용준의 소설을 대상으로 육체라는 전체성을 쪼갬으로써 얻어진 ‘부분’의 개별성이 어떻게 정형과 규칙을 위반하는지 치밀하게 설득시킨다. 프랜시스 베이컨의 회화와 연관시키는 지점에서 논리적 비약이 엿보이지만, 이론이나 관념의 과잉을 자제하면서 얼룩, 냄새, 피 등의 구체적 이미지와 연결시킴으로써 개성을 확보하고 있다. 정용준 소설의 원시성이나 섬뜩함, 강렬함과 연결시키는 작가론의 시각도 안정적이고 논리적이다.
무엇보다도 현실에 부재하는 욕망이나 비정상적 가족 관계를 육체적 반란의 흔적으로 체화시켜 분석하는 점이 한계에 직면한 현재의 인간 실존을 되돌아보게 한다. 지나치게 보편적인 분석은 공허하고, 안전하지만 간접화된 해석은 개성을 상실하기 쉽다. 그 당연한 위험 ‘사이’에서 고민하고 성찰하는 앞으로의 활동을 기대해 본다.
심사위원 이광호 문학평론가, 김미현 문학평론가
심사위원 이광호(왼쪽) 문학평론가, 김미현 문학평론가.
‘어리석은 자들의 발걸음’(문종필)은 김남주, 백무산, 송경동의 시들이 전해 주는 전사(戰士)적 문학을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활력이 매력적이었지만 논의가 다소 산만했다. ‘아직 모르는 몸과 그 적(敵)들’(정기석)은 김언 시에 나타난 몸의 불구성을 근대적 사유의 지배에 저항하는 담론으로 부각시키는 과정에서 개성적 시각이 좀더 보완되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았다.
당선작으로 결정된 ‘해부된 육체:부분이 발설하는 단서들’(김효숙)은 정용준의 소설을 대상으로 육체라는 전체성을 쪼갬으로써 얻어진 ‘부분’의 개별성이 어떻게 정형과 규칙을 위반하는지 치밀하게 설득시킨다. 프랜시스 베이컨의 회화와 연관시키는 지점에서 논리적 비약이 엿보이지만, 이론이나 관념의 과잉을 자제하면서 얼룩, 냄새, 피 등의 구체적 이미지와 연결시킴으로써 개성을 확보하고 있다. 정용준 소설의 원시성이나 섬뜩함, 강렬함과 연결시키는 작가론의 시각도 안정적이고 논리적이다.
무엇보다도 현실에 부재하는 욕망이나 비정상적 가족 관계를 육체적 반란의 흔적으로 체화시켜 분석하는 점이 한계에 직면한 현재의 인간 실존을 되돌아보게 한다. 지나치게 보편적인 분석은 공허하고, 안전하지만 간접화된 해석은 개성을 상실하기 쉽다. 그 당연한 위험 ‘사이’에서 고민하고 성찰하는 앞으로의 활동을 기대해 본다.
심사위원 이광호 문학평론가, 김미현 문학평론가
2017-01-02 4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