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서울신문 신춘문예 소설-심사평] 민감한 소재를 설득력 있게 써내며 삶의 진한 페이소스 전달

[2017 서울신문 신춘문예 소설-심사평] 민감한 소재를 설득력 있게 써내며 삶의 진한 페이소스 전달

입력 2017-01-01 18:32
수정 2017-01-02 11: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심사위원 최윤(왼쪽) 서강대 불문학과 교수, 성석제 작가.
심사위원 최윤(왼쪽) 서강대 불문학과 교수, 성석제 작가.
소설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구성 요소는 문장과 서사(이야기)이다. 소설이 근본적으로 타인(독자)과의 공감을 전제로 한 정서적, 지적인 매개체인 까닭이다. 소설은 문장력 없이는 표현이 불가능하고 이야기가 없거나 빈약하면 독자가 끌려오지 않는다. 본심에 오른 작품들은 물론 이러한 문장력과 이야기를 가지고 있는 것들이지만 그런 요소들이 얼마나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는지, 같은 이야기라도 얼마나 설득력이 있고 매력적인지 하는 문제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었다.

임정균의 ‘피로연’은 잘 다듬어진 작품이다. 크지 않지만 아기자기한 이야기를 세세하게 잘 풀어가는 능력이 느껴진다. 젊은 부부와 피로연에서의 대화, 텔레비전에서 중계되는 야구경기가 적절하게 어울려 나름대로의 리듬을 가지고 이야기를 끌고 나간다. 그런데 소설이 한 가정 내의 문제, 그들이 속했던 학창 시절의 교우 관계, 갈등의 인과에서 벗어나 보편적인 공감을 획득하는 데까지 나아가지 못했다는 게 아쉽다.

이문영의 ‘동시대인’은 초반에 많은 기대를 가지고 읽었던 작품이다. 두 사람의 화자가 육성에 가까운 대화로 소설을 이끌어 나가고 세부도 상당한 수준의 완성도를 갖추고 있다. 학원 강사라는 직업에 대해 사람들이 모르고 있던 정보를 주기도 하고 결혼을 앞두고 압박에 시달리는 30대의 고민을 잘 보여 주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그러한 세부 구축에 지나치게 치중한 나머지 기대했던 반전을 보여 주지 못했다.

당선작으로 뽑은 문은강의 ‘밸러스트’는 본심에 진출한 다른 작품과는 다르게 우리가 살아가는 이 시대, 사회적으로 민감한 소재를 선택했다. 높은 밀도의 이야기를 차분한 문장으로 풀어내는 방식이 신뢰를 안겨 준다. 양극화, 불평등과 사회 시스템의 잘못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지만 목소리 자체가 높지 않으며 독자로 하여금 스스로 느끼게 하는 페이소스가 있다. ‘당신’이라는 호명으로 생활력과 사랑의 상징이자 자식에 대해 무한 책임을 지는 어머니를 불러내 일정한 거리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고 주관적 진술에 매몰되지 않은 점이 특별히 빛난다. 당선자에게 아낌없는 축하를 보내며 아쉽게 다음을 기약하게 된 분들의 정진을 바란다.

심사위원 최윤 서강대 불문학과 교수, 성석제 작가

2017-01-02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