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열린세상] 원한사회/이은경 한국여성변호사회장

[열린세상] 원한사회/이은경 한국여성변호사회장

입력 2016-12-30 17:50
업데이트 2016-12-30 23: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민대통합위원회는 2016년 ‘한국형 사회갈등 실태진단 보고서’를 통해 대한민국이 ‘경쟁사회’에서 ‘원한사회’로 넘어갔다고 진단했다. 양극화의 골이 깊어지면서 아무리 노력해도 경제적 격차를 극복하기 어렵고, 사회관계에서도 늘 ‘을’의 입장이 돼야 한다는 인식이 팽배해졌기 때문이란다. 실은 우리 사회의 갑을(甲乙) 논쟁은 줄곧 큰 이슈였다.

이미지 확대
이은경 한국여성변호사회장
이은경 한국여성변호사회장
게다가 지금은 한 걸음 더 나가 ‘사회관계’에서의 갑을이란 지위뿐 아니라, ‘출생신분’에서도 을의 삶이 고착됐음을 자조적으로 표현한 ‘금수저 흙수저’ 논쟁이 무척 뜨겁다.

사실 갑과 을로 인식되는 사회 현실이 분노를 자아내게 하는 건 사실이다. 무엇보다 아주 비인격적이다. 무엇을 매개로 한 갑을이든 인간을 조종할 수 있는 권력 앞엔 약한 인격이 훼손되기 때문이다.

외려 선진국 문턱에 다다랐다는 지금 이 시점 대한민국이 ‘원한’이 쌓인 ‘지옥’으로 불리는 건 무슨 연유인가. 극심한 가난을 극복해야 했던 과거보다 분노, 증오, 원한이 이 나라 도처에 넘쳐나는 게 도대체 무엇 때문인가. ‘헬조선’이란 말이 자연스럽게 입에 붙어 버린 건 단지 상대적 박탈감 때문만은 아닐 거다. 혹여 옳고 그름의 기준이 무너졌기 때문은 아닐까.

금세기는 소위 자연법으로 불리던 불변의 가치들이 흔들리면서 ‘나’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세계관이 서로 극심하게 충돌했다. 무릇 사람은 모든 일의 기준을 ‘자신’으로 삼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하여튼 지금 대한민국은 총체적 위기 앞에 마주 서 있다. 비단 정치만의 문제가 아니다. 이젠 희망이 손에 잡히지 않는다는 두려움이 깊은 무력감을 안겨 주고, 국민의 행복 체감도는 바닥을 치고 있다. 나는 이 부정적인 기류를 떨쳐 낼 무언가 새로운 제안이 절실하다는 생각이 든다.

당장 대한민국에 ‘원한사회’를 불러왔다는 갑을 구도부터 타파할 순 없는가. 우리는 언제부턴지 사람과 사람이 만날 때 누가 갑인지 누가 을인지 탐색부터 시작한다. 우리 모두 갑과 을을 넘나드는 피곤한 일상에 지칠 대로 지쳐 있다.

사실 이 나라는 품앗이를 하는 상호부조 전통이 유구했던 민족이다. ‘상부상조’라는 말이 늘 귀에 익었던 국민이다. 물론 최근엔 한국인들이 어려울 때 기댈 사람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아예 한국인들이 정이 많다는 건 옛말이란 소리도 들린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갖은 고난과 지독한 가난을 같이 부여잡고 같이 이겨내 온 굳건한 공동체다. 유독 사람에 대한 관심과 애정도 각별한 민족이다. 옆집 숟가락 숫자도 세던 우리 아니던가.

그래도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희망을 붙잡아야겠다. 우리 모두 원한을 품고 불행하게 죽어 갈 순 없지 않은가. 과연 진정한 행복을 위해 무얼 해야 할지 고민하자. 정의사회 구현과 엄정한 법질서 이런 말만 되풀이하진 말자. 가십과 손가락질, 비난과 정죄도 이젠 지치고 피곤하다. 폭발적인 분노가 대안을 주진 않는다. 차라리 역발상이 좋다. 갑을 구도의 패러다임을 확 바꾸는 거다. 세상이 ‘파워’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게 아니라 ‘도움’을 매개로 움직이는 거 말이다.

바로 ‘나’로부터 ‘타인’으로의 시프트다. 갑을의 권력 관계 대신 ‘돕는 자, 도움이 필요한 자’로 세상을 바라보는 거다. 세상의 갑이 강한 자가 아니라, ‘돕는 자’가 강한 자다. 세상의 갑이 높은 자가 아니라, ‘돕는 자’가 높은 자다. 신도 인간의 헬퍼 아니신가. 바로 이것이 ‘원한사회’의 대안이면 좋겠다.

사실 우리는 끊임없이 남을 돕고, 끊임없이 남의 도움을 받는 존재다. 을의 자리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수많은 이들은 사실 남을 돕고 남을 섬기는 사람들이다. 갑의 삶을 걷어차 버리고, ‘돕는 자’의 삶을 선택한다면 분명히 세상이 바뀌지 않겠는가. 조금 살아 보니 결국 남을 위해 사는 것이 남는 거란 생각이 든다. 그렇다. 바로 지금이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 ‘평등’, ‘박애’의 네 기둥이 대한민국이라는 땅에 굳게 뿌리박혀 새로운 시대를 열어 갈 때인 줄 누가 알겠는가. 늘 그렇듯이 우리는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 왔기 때문이다.
2016-12-31 2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