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시리아 휴전 합의… 힘의 공백 메우는 ‘러시아의 힘’

시리아 휴전 합의… 힘의 공백 메우는 ‘러시아의 힘’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16-12-29 22:20
업데이트 2016-12-30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푸틴 “30일 0시부터 교전 중단”… 시리아 정부군·반군 협상 시작

러 “트럼프 평화협상 참여 기대”

2년 전만 해도 경제제재 여파로 빈사 상태에 놓였던 러시아가 유가 회복과 각국의 잇따른 구애 요청에 힘입어 ‘원조’ 주요 2개국(G2)의 위상을 되찾고 있다. 미국이 유럽, 중동, 아시아 등지에서 주도권을 잃고 유럽연합(EU) 곳곳에서 극우주의가 기승을 부리자 러시아가 ‘힘의 공백’을 메우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9일(현지시간) 러시아와 터키의 중재 아래 시리아 정부군과 반군이 휴전에 합의했다고 밝혔다고 AP 등이 전했다. 휴전 협정은 30일 0시를 기해 발효된다. 시리아 정부도 30일 0시부터 전국에서 교전 행위가 중단된다고 발표했다.

푸틴은 휴전 합의에 이어 시리아 정부와 반군 세력이 카자흐스탄에서 평화 협상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인 협상 일자는 알려지지 않았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다음달 취임하면 들어설 새 정부가 시리아 평화 협상에 참여하길 바란다”며 버락 오바마 정부를 견제하고 친(親)러시아 성향의 트럼프 새 정부에 손을 내밀었다.

●WSJ “서방의 대러 제재 붕괴 우려”

2011년 시리아 내전이 시작된 뒤 국제사회는 미국과 러시아가 중심이 돼 해법을 논의했다. 그러나 미국이 이렇다 할 리더십을 보이지 못하고 시간만 허비하자 러시아가 미국과 서방을 배제하고 터키를 끌어들여 사태를 마무리했다. 미국 싱크탱크 ‘애틀랜틱 카운실’은 “다수의 중동 국가에서는 ‘미국이 시리아 내전을 오히려 망쳐 놨다’는 인식이 강하다”고 밝혔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덧붙였다.

앞서 2014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영토인 크림반도를 강제 병합하자 미국과 EU는 고강도 대(對)러 제재에 나섰다. 하지만 트럼프는 친러파 렉스 틸러슨 엑손모빌 회장을 국무장관에 지명해 관계 회복을 추진하고 있다. 내년 5월 치러지는 프랑스 대선에서 결선투표 진출이 유력한 중도우파 프랑수아 피용(58) 전 총리와 극우 성향 마린 르펜(48) 후보 모두 친러 인사다. WSJ는 미국에 이어 프랑스까지 러시아 견제 전선에서 이탈하면 서방의 대러 제재 자체가 무너질 수 있다고 29일 보도했다.

●美가 해결 못한 시리아 내전 마무리

지난달 13일 치러진 불가리아와 몰도바 대선에서도 친러 성향 후보가 나란히 당선되는 등 친EU 성향 동유럽 국가도 속속 러시아로 회귀했다. 이 같은 현상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부터 이어진 유럽의 경제난으로 자원대국이자 경제대국인 러시아의 도움이 절실해진 때문으로 풀이된다. 제재가 길어지면서 자신에게도 그 피해가 부메랑이 돼 돌아오고 있어서다. 프랑스 대선 후보 피용은 “대러 수출 금지 조치로 애꿎은 프랑스 농민이 피해를 입는다”며 즉각적인 제재 해제를 주장하고 있다.

여기에 중국 견제 등을 이유로 미국이 친러 성향으로 돌아서 대러 제재 구심력이 약해진 것도 결정적이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6-12-30 18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