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진짜 그림, 가짜 그림/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진짜 그림, 가짜 그림/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6-12-20 21:18
업데이트 2016-12-20 2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은 저서 ‘미술과 역사 사이에서’의 증보판을 2004년 내면서 위작 논란에 불을 붙였다. 유명화가의 옛 그림 상당수가 가짜라는 충격적 주장이었다. 추사 김정희를 비롯해 단원 김홍도, 겸재 정선, 표암 강세황, 우봉 조희룡, 능호관 이인상, 석파 이하응의 위작이 전시회에 나와 진품으로 둔갑한 뒤 유통되고 있다는 것이었다.

국립경주박물관장을 지낸 강 원장은 “실수는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출품작의 70∼80%가 위작일 가능성이 큰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대표적 민간 미술관 전시회에 나온 그림과 역시 유명 미술사학자 저서에 담긴 그림을 조목조목 거론했으니 파문은 컸다.

그는 지금도 자신의 주장에서 한 걸음도 물러서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베네딕도회 왜관 수도원이 2005년 독일 상트오틸리엔 수도원으로부터 영구 대여 형식으로 돌려받은 겸재 정선 화첩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 화첩은 상트오틸리엔 수도원의 노르베르트 베버 대원장이 1925년 한국을 찾았을 때 모은 것으로 귀환 당시 커다란 화제를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그런데 강 원장은 “화첩의 그림들을 겸재 작품으로 보기에는 터무니없이 필력이 모자란다”고 설명한다.

이름 없는 화가의 작품을 위조할 이유는 없다. 빈센트 반 고흐의 작품은 오늘날 100점 이상의 위작이 세계 시장을 떠돈다고 한다. 하지만 고흐 생전에는 가짜 그림이 만들어지지 않았다. 진짜 그림도 팔리지 않는데 가짜를 만들 이유가 없다.

하지만 가짜라고 모두 나쁜 마음에서 비롯된 것은 아니다. 뛰어난 화가의 작품을 베끼는 것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중요한 회화학습법이다. 원본을 베끼는 모(摹), 보고 그리는 임(臨), 원작의 정신을 좇는 방(倣)이 기본 공부다. 시장을 떠도는 가짜 옛 그림의 상당수도 이런 과정에서 생산됐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

시인으로 명성을 날린 권섭(1671~1759)은 겸재의 열렬한 팬이었다. 겸재 그림으로 화첩을 꾸미는 게 낙이었는데, 구하지 못한 화제(畵題)는 손자인 권신응으로 하여금 그려 넣게 했다. 권섭은 손자가 겸재에 버금가는 화가로 자라나기를 염원하며 아주 어린 시절부터 겸재의 그림을 모사하게 했다. 이런 종류의 가짜 그림이 화첩의 진본 사이에 끼어 있다면 진위를 가리기는 더욱 쉽지 않다.

법원이 위작 논란을 빚은 천경자 화백의 ‘미인도’를 진품으로 결론 내렸다. 화가는 아니라는데 법원이 ‘당신이 그린 것이 맞다’고 한 꼴이다. 난초의 대가인 석파 이하응, 즉 대원군에게도 이런 일화가 있다. 누군가 난초 그림을 사들고 와서는 “당신 그림이 맞느냐”고 했다. 그러자 대원군은 “내 것은 아니지만 내 것보다 낫네”하며 얼른 도장을 꺼내 낙관을 해주었다고 한다. 믿거나 말거나지만, 천 화백도 대원군의 여유를 따를 수밖에….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6-12-21 3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