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상욱의 암 연구 속으로] 암 환자 삶의 질 연구에도 관심을

[이상욱의 암 연구 속으로] 암 환자 삶의 질 연구에도 관심을

입력 2016-12-19 22:32
업데이트 2016-12-20 0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로 암으로 진단받는 환자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암 진단 후 5년 이상 생존하는 환자의 수 또한 늘고 있다. 국립암센터 통계에 따르면 1993년부터 1995년 사이 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41.2%였지만 2009년부터 2013년 사이에는 69.4%로 28.2% 포인트 정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확대
이상욱 서울아산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교수
이상욱 서울아산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교수
다만 이런 통계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는 힘들다. 암을 조기에 진단받는 환자 수가 늘어 5년 생존율이 향상된 부분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지금부터 8년 뒤에 사망하는 환자가 오늘 암으로 진단받으면 8년을 사는 것이지만 4년 뒤에 진단받으면 4년만 생존하는 것으로 통계에 반영된다. 초기 갑상선 암 같은 경우가 그렇다. 결국 암 생존율 향상은 국내 암 치료 기술의 향상, 전반적인 국민 건강상태의 개선, 그리고 말기 암이라고 해도 끝까지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치료받는 환자의 의지가 모여 이뤄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 같은 이유로 현재 생존 중인 암 환자 수 역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암 환자는 수술,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 중 적어도 한 가지, 경우에 따라서는 두 가지 이상의 치료를 조합해서 받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성공적인 암 치료를 위해 세 가지 치료를 함께 받는 암 환자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전체적인 암 치료 성적은 향상되겠지만 암 환자의 삶의 질 측면에서 본다면 암 치료의 후유증으로 고통받는 환자가 늘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제까지의 암에 대한 연구는 암이 어떤 병인지, 어떻게 치료하면 암세포를 몸에서 없앨 수 있는지에 집중돼 있었다. 하지만 앞으로의 암 연구는 암에 대한 치료법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도 치료할 수 있는 쪽으로 무게가 실려야 할 것이다. 항암화학요법은 세 가지 암 치료법 중에서 역사가 가장 짧지만 한편으로는 최근 수십년 동안 가장 획기적으로 발전한 분야이기도 하다. 새로운 항암제가 많이 개발됐지만 지금도 주로 쓰는 항암제는 최소 30년 전에 처음 개발된 약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암화학요법이 활성화되고 눈부신 발전을 할 수 있었던 것은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해 발생하는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약들이 개발됐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예로 항암제 투여 뒤 발생하는 오심이나 구토를 줄일 수 있는 ‘온단세트론’과 같은 약과 백혈구 감소 시 투여할 수 있는 백혈구 증식인자(G-SCF) 같은 촉진제를 들 수 있다. 이런 종류의 약들은 비록 항암제는 아니지만 암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수많은 암 환자를 살리는 데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방사선치료분야는 최근 영상의학기술의 발전과 컴퓨터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엄청나게 발전했지만 주로 방사선치료의 정밀도를 높이는 데 집중된 감이 없지 않다. 따라서 치료 후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합병증 치료법이나 암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연구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했다는 점을 부인하기 어렵다. 이에 새로운 방사선 치료 기기의 개발 속도가 둔화되자 자연스럽게 방사선종양학의 발전도 서서히 정체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의사가 의학연구의 중심에 서야 하는 이유는 의료 현장으로부터 환자에게 필요한 연구의 주제를 찾아낼 수 있는 자극에 항상 노출돼 있기 때문이다. 암 환자의 삶의 질이 바로 그런 주제들 가운데 하나다. 의학연구자 역시 환자를 중심에 놓고 사고할 때 효용성 있는 발전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할 것이다.
2016-12-20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