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정윤회 수억 받고 인사 개입… 연루 공직자는 현직 부총리급”

“정윤회 수억 받고 인사 개입… 연루 공직자는 현직 부총리급”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16-12-15 22:46
업데이트 2016-12-16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한규 前세계일보 사장 폭로

진위 따라 朴대통령 타격 관측
미확인 정보로 검증 필요 지적도


이미지 확대
‘사법부 불법 사찰 의혹’ 문건
‘사법부 불법 사찰 의혹’ 문건 15일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 특위에 증인으로 출석한 조한규(오른쪽) 전 세계일보 사장이 ‘양승태 대법원장 불법 사찰 의혹’과 관련됐다고 주장한 문건을 김성태 위원장에게 제출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의원은 이 문건에서 확인되는 ‘차’라는 글씨가 국가정보원 문건 특유의 ‘워터마크’라고 밝혔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15일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 특위에 증인으로 출석한 조한규 전 세계일보 사장이 ‘양승태 대법원장 불법 사찰 의혹’과 관련됐다고 주장한 문건.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15일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 특위에 증인으로 출석한 조한규 전 세계일보 사장이 ‘양승태 대법원장 불법 사찰 의혹’과 관련됐다고 주장한 문건.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15일 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 특위 청문회장은 조한규 전 세계일보 사장이 터뜨린 ‘핵폭탄급 폭로’로 발칵 뒤집혔다. 진위에 따라 직무정지 상태인 박근혜 대통령에게 회복 불가능한 타격을 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물론 조 전 사장의 발언은 ‘정윤회 문건’에 기초한 ‘주장’이거나, 취재 중인 미확인 정보인 만큼 혼란을 막기 위해서라도 특검 검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먼저 최순실씨의 전남편 정윤회씨가 부총리급 공직자 임명과 관련해 뇌물을 받았다는 주장이 눈에 띈다. 당사자를 현직 부총리급 인사라고 밝혀 관련 부처, 기관도 충격에 빠졌다. 조 전 사장은 국민의당 김경진 의원이 “세계일보가 보도한 ‘정윤회 문건’에 정씨의 7억원 뇌물수수 의혹이 나와 있다는데, 설명해 달라”고 요청하자 “문건을 토대로 취재를 해본 결과 당시 부총리급 인사를 정씨가 추천해 인사했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조 전 사장은 문건에 ‘정윤회에게 (인사) 부탁을 하려면 7억원 정도를 줘야 한다’는 취지의 내용이 담겨 있다고 확인했다.

김성태 특위 위원장이 “당시 부총리급 인사가 현재 정치권이나 정부 관료에 포함되느냐”는 질문에 “네”라면서 “구체적으로는 밝힐 수 없다.”라고 답했다.

박근혜 정부 들어 임명된 부총리급 인사는 경제부총리(현오석·최경환·유일호)와 사회부총리(황우여·이준식), 민주평통 수석부의장(현경대·유호열), 황찬현 감사원장 등 8명이다.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은 “현재 부총리급 현직은 정부 3인, 국회 2인(국회부의장)인데 2014년 11월 이전부터 현직(으로 정부)에 있는 분은 딱 한 분”이라며 “우리 위원회에서 좀더 추가 조사해서 특검에 공식 조사를 요청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인터넷 포털사이트 등에서 황 감사원장을 향한 의혹이 집중되자 감사원 측은 “사실무근”이라면서 “관보에 공개되는 고위공직자 재산 정보를 보면 감사원장 재산은 줄곧 부동산까지 합쳐서 10억원 정도로, 7억원이라는 거액이 줄거나 큰 변동이 있었던 적은 없다”고 부인했다. 국민의당 이용주 의원도 “내가 알기로는 황 감사원장은 아닌데, 의혹이 확산되고 있다”고 확인을 요청하자 조 전 사장은 “(황 감사원장은) 전혀 아니다”라고 답했다.

국정원으로 추정되는 기관이 양승태 대법원장과 최성준(전 춘천지법원장) 방송통신위원장을 사찰했다는 폭로도 충격적이다. 조 전 사장이 특위에 제출한 문건에는 ‘최 지법원장이 소설가 이외수 등 지역 내 유명인사들과 친분을 구축해 놓고 환심 사기에 적극 이용 중’이라는 내용도 담겨 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6-12-16 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