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① 러 ‘대북 영향력’ 커지나 ② ‘러시아 북핵 역할론’ 등장하나

① 러 ‘대북 영향력’ 커지나 ② ‘러시아 북핵 역할론’ 등장하나

강병철 기자
입력 2016-12-14 23:04
업데이트 2016-12-15 02: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친러’ 美 국무 시대 향후 전망은

미국 차기 행정부의 국무장관으로 친러 인사인 렉스 틸러슨 엑손모빌 회장이 발탁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향후 러시아의 대북 영향력이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가 선거 기간 강조한 ‘중국 역할론’을 대신해 북한의 또 다른 지원국인 러시아를 대북 문제 해결에 적극 활용할 수 있다는 분석에서다.

트럼프는 당선 이후 ‘반중친러’ 행보를 펼쳐 왔다. 특히 최근에는 ‘하나의 중국’ 정책마저 부정하는 발언을 하며 중국의 ‘역린’(逆鱗)을 건드렸다. 이에 향후 미·중 관계가 악화되면서 중국을 통한 한반도 문제 해결도 어려워질 것이란 우려가 계속 커지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가 친러 인사를 국무장관으로 발탁하면서 미국의 북핵 해법에 새로 ‘러시아 역할론’이 등장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 것이다.

러시아는 동북아에서 북한, 중국과 함께 ‘북방 3각’을 이루는 한 축으로, 대체로 한반도 문제에 대해서는 중국의 결정을 지지하는 행보를 보여 왔다. 그러나 지난 3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 2270호 채택 당시에는 막판에 결의 채택을 연기시키고 예외 조항을 삽입하는 등 존재감을 드러냈다. 당시 외교가에서는 러시아가 향후 한반도 문제에 대해 목소리를 계속 키울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특히 러시아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신동방정책’에 따라 나진·하산 프로젝트 등 북한과의 경제 협력을 계속 이어 가고 있다. 이번에 채택된 안보리 결의 2321호는 북한산 석탄 수출을 전년 대비 38%가량으로 대폭 제한했지만 나진항을 통한 수출 물량은 여전히 예외로 뒀다. 이번 제재로 북·중 교역이 대폭 축소되면 상대적으로 북한 경제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력이 커질 것이란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일각에서는 러시아의 주선으로 북·미 대화가 열릴 가능성도 제기된다.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러시아는 서방 제재를 빠져나올 기회를 얻었고, 북한은 중국과는 일정한 거리를 두는 대신 러시아를 중재자로 삼을 수 있다”면서 “내년 2월 이후 푸틴의 주선으로 극동 지역에서 북·미 대화가 열릴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6-12-15 8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