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탈북민을 품어라” 종교계 포교 경쟁

“탈북민을 품어라” 종교계 포교 경쟁

김성호 기자
입력 2016-12-01 17:40
업데이트 2016-12-01 17: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탈북민 3만명 시대… 신앙생활 주목

개신교 44%·불교 11%·천주교 10%
각 종교, 교재 발간 등 지원 대폭 확대

서울 양천구 신월동 한빛종합사회복지관 식당에서 탈북민 출신인 소망두레봉사단 단원들이 자신들보다 늦게 한국에 입국한 탈북민들에게 나눠 줄 반찬을 만들고 있다. 탈북민들은 대부분 하나원에서 퇴소하기 전 종교 활동을 시작한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신문 DB
서울 양천구 신월동 한빛종합사회복지관 식당에서 탈북민 출신인 소망두레봉사단 단원들이 자신들보다 늦게 한국에 입국한 탈북민들에게 나눠 줄 반찬을 만들고 있다. 탈북민들은 대부분 하나원에서 퇴소하기 전 종교 활동을 시작한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신문 DB
‘탈북민을 품어라.’ 탈북민 포교에 종교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통일부가 지난달 11일 국내 입국 북한이탈주민(탈북민)이 3만명을 넘어섰다고 발표한 데 이어 북한인권정보센터가 탈북민의 종교 성향을 조사한 백서를 발표했기 때문이다. 각 종교가 탈북민 신앙생활 연구에 들어가는가 하면 앞다퉈 포교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사단법인 북한인권정보센터 부설 북한인권기록보존소가 2007년~2016년 4월 입국한 탈북민 1만 1730명을 대상으로 설문, 면접조사를 실시해 최근 발표한 ‘2016 북한 종교자유 백서’에 따르면 응답자 중 개신교가 44.2%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불교(10.7%), 천주교(10.2%) 순이었다. 탈북민 중 개신교 비율이 높은 까닭은 탈북 전부터 입국 과정까지 개신교 선교사, 선교단체의 역할 때문인 것으로 관측된다. 북한에 비밀리에 보급이 늘고 있는 성경 탐독과 라디오 청취를 통한 종교적 지식 습득 확대도 주효했던 것으로 보인다.

백서에서 종교계가 가장 관심을 갖는 부분은 탈북민들의 종교 활동 개시 시점이다. 종교 활동을 하는 탈북민들은 대부분 하나원 입소 이전부터 신앙생활을 시작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정원에서부터(33.3%)가 가장 많았고 중국에서부터(30.6%), 하나원에서부터(29.5%), 중국 외 제3국에서부터(4.2%), 북한에서부터(1.9%)가 뒤를 이었다. 응답자의 94%가 하나원에서 퇴소하기 전 종교 활동을 시작한 셈이다.

개신교 측은 조사 결과를 반기며 낙관하는 눈치다. 개신교계는 특히 북한에서 생활할 당시 성경책을 본 탈북민이 늘고 있는 상황에 고무돼 있다. 조사에 따르면 1997~2015년 북한에서 성경책을 본 적이 있다는 472명 중 2000년 이전 탈북민은 단 9명에 불과했지만 2000년 이후 탈북민은 463명에 달했다. 이에 비해 천주교와 불교계는 상대적으로 조급해하는 표정이 역력하다. 천주교는 현재 서울대교구장이 평양교구장을 겸하고 북한에 파견할 사제를 양성하는 등 통일 이후에 대비하고 있지만 당장의 포교와 선교에선 개신교 측에 뒤지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서울대교구의 한 사제는 “조사 결과를 볼 때 남한 입국 이후 신앙을 받아들인 비율이 63.4%에 달한다”며 “천주교회가 개신교회와 비교할 때 탈북민 선교에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게 사실”이라고 귀띔했다.

불교계의 사정은 더 심각해 보인다. 불교계는 2010년부터 최근 사이 타 종교에 비해 불교 신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약세를 면치 못하는 사실에 주목해 다양한 포교전략을 마련할 태세다. 조계종 포교원은 12월 중 ‘새터민 전법단’을 꾸리고 조사시설과 하나원에 대한 포교 지원 확대계획을 세웠다. 내년 2월 중 하나원과 조사시설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탈북민을 위한 포교교재도 발간할 예정이라고 한다.

한편 이번 백서에는 북한의 종교 박해 사건도 공개돼 눈길을 끈다. 2007년 이후 총 1247건의 박해 사건이 발생했으며 이 가운데 종교 활동에 의한 경우가 51.7%(645건)로 가장 많았고 종교 물품 소지 23.7%(295건), 종교 전파 10.7%(133건), 종교인 접촉 5%(62건) 등이 뒤를 이었다. 북한에서 비밀 종교 활동에 참가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12%(137명)였다. 종교 활동 적발로 처벌되는 수위는 북한에서 가장 높은 처벌인 정치범수용소행이 51.8%(5539명)나 됐고, 교화소(한국의 교도소)행은 11.4%(1217명)였다. 종교 활동에 대한 처벌 수위가 높다는 사실이 확인된 셈이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6-12-02 24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