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열린세상] 위험관리와 중소기업/박광태 한국중소기업학회장·고려대 경영대학 교수

[열린세상] 위험관리와 중소기업/박광태 한국중소기업학회장·고려대 경영대학 교수

입력 2016-11-27 18:00
업데이트 2016-11-27 18: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박광태 한국중소기업학회장·고려대 경영대학 교수
박광태 한국중소기업학회장·고려대 경영대학 교수
위험이란 말은 일반인의 일상생활에서부터 기업 및 국가까지 우리 주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위험은 외부 혹은 내부의 취약함으로 인해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할 가능성으로 정의된다. 위험과 불확실성에 대한 혼동이 있으나 불확실성은 미래에 어떤 사건이 발생할 것인지조차 알 수 없는 반면 위험은 미래에 어떤 사건이 발생할 확률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이 차이다.

기업에서의 위험관리는 기업이 여러 가지 위험을 합리적으로 관리하여 경영의 안정을 도모하고 간접적으로 기업이익의 증대를 목표로 하는 관리를 말한다. 예를 들면 무역거래에서의 환율의 변동과 거래국가의 위험도 그리고 제품의 손상과 가격의 하락 등에 적절히 대응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위험관리가 중요한 점은 위험이 다음의 속성들을 지니기 때문이다. 먼저 위험이 불확실성에 비해 사건이 일어날 확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하더라도 미래에 그 사건이 실제로 발생할지는 아무도 알 수가 없다는 것이다. 또한 위험에 관한 요인들이 서로 얽혀 있어 특정 위험에 관한 요인이 다른 위험의 발생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중소기업은 위험관리를 정확한 정보에 바탕을 두고 체계적으로 하고 있지 않다. 위험이 발생하면 큰 어려움을 겪거나 심지어 기업이 사라지는 일도 있다. 2008년 통화옵션 상품인 ‘키코’(KIKO) 사태가 터졌을 때 많은 중소기업이 어려움을 겪었고 특히 태산엘시디는 큰 피해를 보았다. 중소기업들은 키코의 정확한 수익구조를 모르고 단순히 환헤지되는 좋은 상품으로만 알고 가입해 큰 손실을 본 것이다. 주식도 위험한데 이보다 몇십 배 더 위험한 옵션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에 한때 연매출 1조원을 넘나들던 태산엘시디가 키코의 후유증을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2013년 파산 절차를 통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것이다. 최선의 선택보다 최악의 회피가 중요하다는 카를 포퍼의 말을 태산엘시디의 예에서 실감할 수 있다. 만일 태산엘시디가 키코에 따른 최악의 상황을 염두에 두고 좀더 가입에 신중했더라면 하는 안타까움이 있다.

위험 발생 때 기업에 큰 피해를 초래하는 위험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가. 위험관리는 위험관리 전략 및 계획수립, 위험분석, 위험평가, 위험 발생 때 대응방법으로 나뉜다.

위험관리 전략 및 계획수립에서는 위험관리를 위한 전략과 계획을 수립한다. 위험분석은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위험은 발생 가능성×손실의 정도로 표시된다. 이 식은 비록 발생 가능성이 낮더라도 일단 발생하면 기업을 회복 불가능의 상태로 만드는 것에 더 신경을 기울여야 함을 의미한다.

위험분석 방법에는 정량적 분석방법과 정성적 분석방법이 있다. 정량적 분석방법은 위험을 손실액과 같은 숫자로 나타내는 방법이고 정성적 분석방법은 어떠한 위험에 대해 발생 가능성을 아주 높음, 높음, 보통, 낮음, 아주 낮음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물론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정량적 분석방법은 객관적이고 수치로 표시되기 때문에 이해가 쉬우나 계산이 복잡해서 시간과 노력 그리고 비용이 많이 든다.

정성적 분석방법은 계산에 대한 노력과 비용 등이 적게 들지만 주관적이기에 신뢰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위험평가는 위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자산, 위험 발생 횟수 그리고 취약성을 고려해 잠재적 손실 규모를 평가하는 것이다.

위험 발생 때 대응방법에는 위험수용, 위험감소, 위험회피와 위험전가가 있다. 위험수용은 위험의 잠재적 손실비용을 감수하는 것이고 위험감소는 위험을 감소시킬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다. 위험회피는 위험이 존재하는 사업을 진행하지 않는 것이고 위험전가는 미리 들어놓은 보험 등을 통해 잠재적 위험을 이전하는 것이다.

위험관리에서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하면 이에 따른 비용은 사전에 위험을 회피하는 비용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크므로 항상 최고의 결과에 유혹되지 말고 최악의 상황을 회피하도록 신경을 써야 한다. 중소기업이 이를 명심하고 위험관리에 힘써 더 탄탄한 기업으로 지속되기를 바란다.
2016-11-28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