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고] AI 시대 국어 교육의 변화/민병곤 서울대 교수

[기고] AI 시대 국어 교육의 변화/민병곤 서울대 교수

입력 2016-11-21 22:14
업데이트 2016-11-21 22: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발표된 지 1년이 지났고, 이에 따라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새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를 사용하게 된다. 잦은 교육과정 개정으로 인해 교육 현장의 피로감에도 불구하고 국가 교육과정을 개정해야 할 국가·사회적 요구가 있었다면 그것은 교육 혁신에 대한 국민적 염원을 반영하는 데 있을 것이다. 새로운 교육과정이 그러한 염원을 실현하는 데 한 걸음 다가갈 수 있게 하는지 살피는 것도 국민의 책무가 아닌가 싶다.

민병곤 서울대 교수
민병곤 서울대 교수
필자가 이번 교육과정 개발에 교과 전문가의 일원으로 참여하면서 고민한 것은 크게 두 가지였다. 하나는 교육과정 개정의 취지를 국어 교과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러한 변화로 인한 교육 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하면서 교육 실천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이 무엇일까 하는 것이었다.

이번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 취지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과 학생의 다양한 적성과 진로를 지원하는 교육과정을 만드는 데 있었다. 최근 인공지능(AI) 시대의 도래는 경제·산업계뿐만 아니라 미래 사회의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 분야에도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단편적인 지식을 얼마나 많이 알고 있는가는 그리 중요하지 않은 시대가 됐다. 국어 교육도 마찬가지다. 국어 교육을 통해 진정 국어 능력이 뛰어난 학생들을 길러 내고 있는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때다. 자신의 의견을 논리적으로 표현하고, 나와 다른 의견에 대해서는 서로 토론하고 조정하고 수용할 줄 아는 능력을 키워 줘야 한다. 문학교육은 이론 중심이 아니라 작품을 감상하며 인간과 삶, 그리고 세상을 바라보고 해석하고 적용할 줄 아는 능력을 길러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는 토대를 길러 줘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새 교육과정에서는 ‘국어’의 학습을 통해 추구해야 할 역량을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자료·정보활용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대인관계 역량, 문화향유 역량, 자기성찰·계발 역량’의 여섯 가지로 설정했다. 이를 통해 국어에 대한 지식을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국어 능력을 키우는 방향으로 교수·학습 및 평가의 개선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또한 핵심 개념 중심으로 성취 기준 수를 줄여 학습량을 20% 정도 감축했고, 이를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학습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기회를 얻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 학기에 책 한 권 읽기를 비롯해 학습자들이 주도적으로 학습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계기들을 마련한 것도 새 교육과정에서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아울러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고, 다양한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진로 탐색에 기여할 수 있을지, 학습량 감축이 의미 있게 실현될지, 그리고 그 시간이 학교의 창의적인 교육 활동으로 채워질 것인지 등 점검하고 확인해야 할 질문들이 쌓여 있다.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실행을 앞두고 교육계 안팎이 매우 분주한데,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이번 교육과정이 그러한 역할을 감당하고 있는지 찬찬히 살피고 점검하고 개선할 여지를 찾고 기록하고 남겼으면 좋겠다.
2016-11-22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