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檢 앞에 서는 18년 운명공동체…‘판도라 상자’ 열리나

檢 앞에 서는 18년 운명공동체…‘판도라 상자’ 열리나

한재희 기자
입력 2016-11-14 21:54
업데이트 2016-11-14 22: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대통령과 ‘문고리 3인방’

이재만(50)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과 안봉근(50) 전 국정홍보비서관이 14일 참고인 자격으로 검찰에 나가 조사를 받았다. 이들과 함께 ‘문고리 3인방’의 일원인 정호성(47) 전 부속비서관은 이미 문건 유출 등의 혐의로 구속된 상태다. 박근혜 대통령도 이르면 16일 검찰 조사를 받을 예정이어서, 결국 박 대통령과 문고리 3인방이 모두 검찰 앞에 서게 되는 상황을 맞았다.

‘문고리 3인방’ 모두 檢 손에
‘문고리 3인방’ 모두 檢 손에 안봉근(왼쪽) 전 청와대 국정홍보비서관과 이재만(오른쪽)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이 ‘비선 실세’ 최순실씨 의혹과 관련한 조사를 받기 위해 참고인 신분으로 14일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 들어서고 있다. 지난 6일 구속된 정호성 전 부속비서관까지 ‘청와대 문고리 3인방’이 모두 검찰 조사를 받게 됐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문고리 3인방, 참모들보다 영향력 커”

이들 세 비서관은 박 대통령과 정치적 운명 공동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들은 박 대통령이 1998년 4월 대구 달성군 보궐선거로 15대 국회의원에 당선돼 정치에 입문하면서부터 최근까지 지근거리에서 박 대통령을 보필해 왔다.

‘문고리’라는 표현도 이들을 거치지 않고는 박 대통령과 소통할 수 없다는 말이 나오면서 붙은 별명이다. 이들은 이번 국정농단의 핵심으로 불리는 최순실(60·구속)씨의 전 남편이자 당시 박 대통령의 비서실장이던 정윤회(61)씨의 추천으로 인연을 맺어 20년 가까이 한 배를 타 온 사이로 이번 사태의 전모를 알고 있는 ‘판도라의 상자’라고 할 수 있다.

이들 중 가장 먼저 박 대통령의 사람이 된 이는 안 전 비서관이다. 그는 15대 국회에서 대구 달성 지역구 의원이던 김석원(71) 전 쌍용그룹 회장의 비서를 지냈다. 당시 김 전 회장이 의원직을 던지고 경영 일선으로 복귀하는 바람에 보궐선거가 치러졌고 안 전 비서관은 박 대통령의 선거를 도우며 인연을 맺었다. 그는 박 대통령이 청와대에 입성하기 전까지 거의 모든 일정의 경호를 맡는 등 ‘호위무사’ 역할을 했다.

정 전 비서관과 이 전 비서관의 등장은 보궐선거 직후다. 이들은 박 대통령의 의원실 보좌관으로 발탁돼 의정활동을 도왔다. 정 전 비서관은 주로 연설문 작성 등 정무기획 쪽을, 이 전 비서관은 내부 살림을 맡았다. 이들은 박 대통령이 대선에서 승리를 거둔 뒤에도 청와대에 함께 입성해 대통령의 일정 등을 챙기는 1, 2부속비서관에 각각 임명됐다.

이들이 오랜 기간 박 대통령의 곁을 지키자 이들에게 줄을 대려는 사람들도 늘어났다. 항간에는 청와대 참모들보다 이들이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풍문이 돌기도 했다. 이 때문에 2014년 말 ‘정윤회 문건’ 파동 당시 야당과 새누리당 비박계의 집중포화를 받았으나 박 대통령은 이들에 대해 ‘묵묵히 고생하며 자기 맡은 일을 열심히 한다”며 무한의 신뢰를 보냈다. 이들 3인방은 갖은 풍파에도 자리를 지켰지만 최근 최순실 국정 개입 파문에 깊숙이 연루된 것으로 드러나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최씨에게 전달된 청와대 문건의 작성자 아이디가 정 전 비서관의 것이며, 최씨가 박 대통령의 순방 일정 및 의상을 챙기는 데에 3인방이 도움을 줬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충신인가, 간신인가… 실체 규명 관건

이제 남은 과제는 실체 규명이다. 오랜 세월 박 대통령 주변을 지킨 이들의 공과 과가 그 일단을 드러낼 지점에 다다랐다.

지금 상황으로는 박 대통령의 충신으로 기억되기보다는 박 대통령의 눈과 귀를 가린 인물들로 결론지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들과 박 대통령의 18년 인연이 해피엔딩으로 끝나기는 여간해서 힘들어 보인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6-11-15 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