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글로벌 시대] 고령화 시대와 박물관의 역할/이은미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글로벌 시대] 고령화 시대와 박물관의 역할/이은미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입력 2016-11-06 18:00
업데이트 2016-11-06 18: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은미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이은미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덴마크 국립박물관의 객원연구원으로 코펜하겐에 머물고 있는 동안 이 나라는 물론 주변 국가의 박물관을 되도록 많이 돌아보려 마음먹고 있다. 덴마크 제2의 도시 오르후스에는 일종의 야외 박물관이라고 할 수 있는 민속촌 ‘올드 타운’이 있다. 이곳에서 특히 눈길을 끈 것은 ‘기억의 집’이었다. 노년층, 특히 치매나 알츠하이머 환자를 위해 마련된 전시다.

알츠하이머 환자는 일반적으로 생애 초기, 특히 10대에서 20대에 이르는 시절을 가장 많이 기억한다고 한다. 이 ‘회고 절정’ 이론에 근거해 지금 이 질환을 앓고 있는 노년층이 젊은 시절을 보낸 1950년대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꾸민 것이 ‘기억의 집’이다. 집안의 인테리어뿐만 아니라 생활 소품, 냄새, 그리고 당시의 유행 음악 등 다감각적 체험을 통해 어느 순간 젊은 시절의 기억과 만나게 되면서 활기를 되찾고 이는 자존감의 회복과도 연결된다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돕는 강사를 양성하는 것 또한 박물관 프로그램의 하나다.

최근 방문한 영국 리버풀국립박물관은 노년층을 위한 문화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운영하는 것으로 이름 높다. 2000년부터 노년층을 대상으로 기억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시작해 2010년대에는 치매 환자를 위한 ‘기억의 집’으로 프로그램을 본격 확장했다고 한다. 노년층 대상 프로그램인 ‘박물관에서 나를 만나 보아요’, 손자 손녀 세대와 함께 박물관을 탐색하고 기억을 나누는 세대 통합 프로그램, 박물관 밖 필요한 곳으로 대여해 주는 다양한 주제의 ‘기억 상자’,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내 기억의 집’이라는 앱까지 운영하고 있다. 특히 이런 성과에 기반해 치매 환자를 돌보는 전문가 및 가족을 위한 돌봄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해 영국 전역에 보급할 예정이라고 한다.

고령사회를 앞서 경험하고 있는 유럽 지역 국가에서는 물질적 복지뿐만 아니라 문화 차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활동을 진행 중이다. 노년층 대상 문화 정책의 인프라 구축, 노년층에게 문화 참여 및 여가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새로운 문화 프로그램의 개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고령 친화적 문화환경 조성, 노년층 대상의 일자리 사업 등의 내용을 운영하고 있거나 운영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2012년 미국박물관협회에서 발간한 트렌드 보고서는 앞으로 박물관계에 다가올 중요한 변화 중 하나로 ‘창의적 노년기’를 꼽았다. 이는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더 오래 건강하게 행복하게 사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 살펴본 덴마크와 영국의 박물관 활동은 문화기관이 노년층을 대상으로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을 넘어 박물관의 자원을 활용해 보다 전문화된 단계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 준다. 고령화 시대는 박물관에도 도전이자 기회가 되고 있다.

지금 국립민속박물관에서 ‘노인-오랜 경험, 깊은 지혜’ 특별전이 열리고 있다는 소식이다. 네 사람의 노인에 관한 이야기를 중심으로 구성된 전시장에서는 노인이 직접 제작한 노인 주제의 영화 또한 감상할 수 있고, ‘은빛 한마당’에서는 노인으로 구성된 ‘상상밴드’의 공연이 펼쳐지며, 시니어 바리스타가 만든 커피도 시음할 수 있다고 한다. 우리 박물관의 노년 문화에 대한 문제의식도 유럽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은 내년 노인 인구 비율 14% 이상인 ‘고령사회’로 접어든다. 세계 최고 수준의 고령화시대 진입 속도다. 고령화시대를 대비하는 문화정책과 박물관의 역할을 더욱 진지하게 고민해 봐야 할 시점인 것 같다.
2016-11-07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