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신통방통 기상] 지진 관측 협업 필요한 이유/고윤화 기상청장

[신통방통 기상] 지진 관측 협업 필요한 이유/고윤화 기상청장

입력 2016-10-31 23:06
업데이트 2016-11-01 00: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고윤화 기상청장
고윤화 기상청장
지난 9월 12일 오후 8시 32분 기상청 관측 이래 한반도에서 가장 큰 규모 5.8 지진이 경북 경주에서 발생했다. 큰 지진에 대한 경험이 없던 국민들은 극심한 불안감을 호소했다. 또 지금까지 500여 차례의 여진이 계속되면서 지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지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늘고 있지만 용어를 비롯해 지진에 관해서 정확히 알고 있는 사람들은 많지 않는 것 같다. 대표적인 것이 지진의 크기를 이야기하는 ‘규모’와 ‘진도’다. ‘규모’는 지진 자체가 갖는 에너지의 크기로 어느 위치에서나 동일하다. 그에 비해 ‘진도’는 지진파가 전달된 지점마다 다르게 표현된다. 큰 지진이어도 아주 멀리서 관측된다면 그 영향이 줄어들어 진도는 작아지게 된다. 이번 경주 지진도 규모는 어느 곳에서나 같은 5.8이지만, 진도는 경주·대구 지역은 최대 Ⅵ(6), 부산, 울산, 창원 등은 최대 Ⅴ(5)로 나타났다.

짧은 시간에 엄청난 피해를 주는 지진을 미리 예측해 대비할 수는 없을까. 안타깝게도 현대 첨단 과학기술로도 지진이 언제 발생할 것인지에 대해 예상할 수 있는 기술은 아직까지 없다.

현재까지 지진 발생에 대해 가장 효율적인 대책은 강한 지진에도 견딜 수 있는 건축물 내진설계와 지진 발생을 최대한 신속히 알려주는 지진 조기경보 서비스밖에 없다. 건축물 내진 설계의 경우 당장 모든 건축물을 강진에 대비해 리모델링하거나 고칠 수는 없기 때문에 결국에는 지진을 최대한 빨리 탐지해서 대비할 시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돕는 지진 조기 경보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전국에 걸쳐 촘촘하게 만들어진 지진관측자료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진관측자료 확보를 위해 현재 우리나라에는 기상청에서 운영하는 150개의 지진관측소를 비롯해 지자체나 공공기관을 비롯한 연구기관, 중요 시설물 등에 지진계나 가속도 계측기가 설치돼 있다.

문제는 연구용이나 시설물 안전 확보 등 각각의 필요에 따라 지진 감시를 위한 관측망 확충은 늘고 있지만 이렇게 확보된 지진관측자료를 공유하는 공동 활용은 그에 못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만약 모든 기관들의 지진관측자료가 공유돼 지진 감시와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면 지진 발생을 신속하게 탐지한 뒤 지역별 진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자칫 대형 사고로 연결될 수 있는 원자력발전소에서는 보다 신속하게 지진 대응을 할 수 있을 것이고 반도체 산업 같은 정밀 산업계에서는 지진 발생으로 인한 불량률을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과학계에서 지진자료 공유에 대한 중요성을 이야기하는 이유는 지진이 더이상 공포의 대상이 아닌 과학으로 극복할 수 있는 중요한 디딤돌을 만들어 줄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2016-11-01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