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열린세상] 규격화된 경험에서 탈출하기/서동욱 서강대 철학과 교수

[열린세상] 규격화된 경험에서 탈출하기/서동욱 서강대 철학과 교수

입력 2016-09-05 18:28
업데이트 2016-09-05 19: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서동욱 서강대 철학과 교수
서동욱 서강대 철학과 교수
젊은 시절엔 많은 경험을 해 보라는 가르침이 있다. 여행도 많이 해 보아야 하고 실패도 겪어야 하며, 많은 사람을 만나 감탄과 실망도 해 보아야 한다. 직접 발로 찾아가 만나는 경험은 책도 대신하지 못하는 우리의 스승이다. 그런데 정말 이 스승을 만날 수 있을까?

최근 런던 스쿨로 분류되는 여섯 명의 화가를 소개하는 전시회 ‘런던 콜링’을 찾았다. 베이컨, 코소프, 앤드루스, 오엘바흐, 키타즈…. 다 좋지만 프로이트의 그림과 더불어 여러 가지 생각을 하게 됐다. 프로이트는 늘 극사실적인 인물화에 몰두했는데, 1990년대에는 행위 예술가 보워리를 모델로 많은 그림을 그렸다.

그 결과 근육이라곤 없는 비계와 살덩어리 누드화들이 탄생했다.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아름다운 몸의 형태와는 전혀 상관없는 누드화들이다.

고전적 조형성과는 상관없다는 점에서 ‘추함’을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는 이 누드화들은 현대 미술의 높은 성취 가운데 하나로 평가받는다. 낡아 보였던 사실주의가 프로이트의 인물화들과 더불어 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이 된 것이다.

프로이트의 인물화들이 매력적이 된 까닭은 전형적인 아름다운 몸의 이미지가 가리고 있던 우리의 눈을 해방시켜 주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우리는 비곗덩어리를 포함한 신체의 다양한 모습을 경이(驚異) 속에 바라볼 수 있게 됐다. 우리의 시선이 그간 전혀 알지 못하던 지평에 가 닿은 것이다.

우리의 경험 속에서도 이렇게 전혀 못 보던 것을 바라보는 새로운 일이 일어날까? 요즘 우리에게 경험이 주어지는 방식들을 보자면 대답은 ‘아니오’이다. 사람들은 늘 자기가 모르던 것을 경험 속에서 얻기를 열망한다.

그런데 그런 경험을 위해 무엇을 참조하는가? 신문 기사, 블로그, 방송 등이 경쟁적으로 쏟아내는 정보다. 음식에 대한 체험을 위해, 그리고 여행을 값진 추억으로 바꾸기 위해 사람들은 경험 속으로 발길을 내딛기 전 먼저 블로그와 기사들을 검색한다. 그 결과 우리 모두의 체험은 아주 똑같아진다.

사람들은 새로운 체험을 원하지만 천편일률적인 맛집에 대한 정보는 우리 모두를 똑같은 미각의 체험자로 만들어 버린다. 여행이나 해외 연수를 통해 우리는 모두 낯선 어떤 값진 것을 기대하지만, 여행지에 대한 정보는 우리를 모든 사람이 거쳐 간 똑같은 관광지를 지나오게 만든다. 우리는 여행에서 새로운 체험을 한다기보다는, 책 속에 정리돼 있는 상식을 돈과 시간을 들여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한마디로 경험은 옷의 치수처럼 규격화된다.

여기에 문제가 있다면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이 기사나 블로그에 마련한 교과서적으로 정형화된 경험의 경로를 떠나기 싫어한다는 점일 것이다. 맛집에 대한 가이드, 여행에 대한 가이드가 제시해 놓은 경로를 벗어나면 사람들은 자기만 뭔가 보잘것없는 체험을 하고서 다른 사람들이 다 해본 진정 중요한 것은 잃은 것 같은 기분에 빠진다.

한마디로 경험의 유일무이한 새로움을 갈망할 때도 실은 독자성보다는 평균적인 동류의 무리에 끼는 것이 더 중요한 것이다.

이런 식의 규격화된 경험을 사람들이 반복하는 일은 단지 맛집이나 여행지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봐야 할 책, 들어야 할 강의 등등의 영역으로 규격화된 경험에 대한 강박 관념은 확대된다. 결국 경험은 기존에 있었던 것을 똑같이 재생산해 내는 창구가 된다.

결과적으로 개인에게서나 사회에서나 창조적 힘은 규격화된 경험 속에서 소멸해 버린다. 첨단 산업의 영역에서 어떤 파격적인 인물이 열어 놓은 새로운 길을 감탄하며 본받으려 하지만, 그 감탄은 이미 규격화된 것이고 그 길은 누구나 공유하는 평균적인 형태로 사람들의 학습 대상이 된다.

시선이 새롭지 않다면 경험은 진부한 가치를 확인하는 장에 불과하다. 진부한 가치를 벗어나 새로운 가치를 홀로 시험해 보는 일은 지식의 문제도 경험의 문제도 아니고 오로지 ‘용기’의 문제일 것이다.

2016-09-06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