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창간 112주년 특별기획] 경제활동 가장 왕성한데… 40대 53.9% “나는 하층민”

[창간 112주년 특별기획] 경제활동 가장 왕성한데… 40대 53.9% “나는 하층민”

이민영 기자
이민영 기자
입력 2016-07-18 23:28
업데이트 2016-07-19 03: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명 중 4명꼴 “나는 중간층” ‘상위층’ 1명… “체감 형편 팍팍”

18일 서울신문 창간 기념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절반 가까이가 스스로를 하위층이라고 여기고 있었다. 10명 중 4명꼴로 스스로를 중간층이라고 했으며 상위층이라고 답한 경우는 1명에 그쳤다. 그만큼 피부로 느끼는 경제 형편이 팍팍하다는 의미다.

설문 대상 1002명 중 스스로를 하위층(중하위·하위)이라고 답한 비율은 46.9%, 중위층은 39.9%, 상위층은 9.8%였다. 지난해 통계청의 사회조사에서 하층민이라고 여기는 비율이 45%였던 것과 흡사한 결과다. 연령별로 보면 40대가 자신을 하위층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53.9%로 가장 많았다. 직업 중에는 블루칼라에서의 비중이 55.6%로 가장 높았다.

하층민으로 느끼는 응답자는 자산이나 소득이 적을수록 많았다. 자산이 1억원 미만인 경우 66.3%가 하층민이라고 응답했고, 자산이 1억~2억원인 사람도 55.6%가 같은 응답을 했다.

하지만 소득·자산이 많은 응답자 중에 스스로를 하류층이라고 구분한 경우도 꽤 있었다. 자산이 10억원 이상인 응답자 중 15.9%는 스스로를 하층민이라고 답했다. 소득을 상·중·하(상은 월소득 500만원 이상, 중은 월소득 300만~499만원, 하는 월소득 300만원 미만)로 구분할 때 ‘소득 상층’ 중에 스스로를 하류층이라고 답한 경우가 26.8%나 됐다. 자신의 현재 형편을 과거나 주변과 비교하면서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윤석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사회적인 지위, 일자리, 사는 곳에 따라 계층에 대한 인식이 굉장히 다를 수 있다”며 “강남에 10억원짜리 아파트를 갖고 있어도 주변과 비교하면 상류층이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고 시골에 1억~2억원짜리 주택을 소유해도 중산층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계층 기준에 정부의 소득 기준뿐 아니라 사회·심리적 기준이 작용한다는 의미다.

현재 정부는 계층 기준을 혼용하고 있다. 통계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동일하게 중위소득 대비 50~150%로 규정한다. 월 소득 187만 8000~563만 4000원(4인 가구 기준)으로 인구의 65.4%가 해당된다. 기획재정부는 소득세율 과표구간에서 중산층을 연 소득 5500만원 이상으로 규정하고 세율 24%를 적용하려다 반대에 부딪혀 8300만원(월 소득 691만원)으로 상향했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2016-07-19 3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