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픔 겪는 아버지·어머니… 베테랑 2인방의 연기 요리

아픔 겪는 아버지·어머니… 베테랑 2인방의 연기 요리

김승훈 기자
입력 2016-06-29 23:00
수정 2016-06-30 00: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립극단 ‘아버지’ ‘어머니’ 새달 13일부터 이례적 교차 공연

치매, 우울증 등 우리 시대 아버지·어머니가 겪는 외로움과 고통을 제3자의 시선이 아니라 병을 앓는 아버지·어머니 입장에서 조명한 연극 두 편이 동시에 명동예술극장 무대에 오른다. 국립극단이 아시아 초연으로 기획한, 프랑스의 젊은 소설가 겸 극작가 플로리앙 젤레르(37)의 대표작 ‘아버지’(2012)와 ‘어머니’(2010)다.

박근형
박근형


윤소정
윤소정
‘아버지’는 치매에 걸린 아버지가 자신의 관점에서 딸을 비롯한 주변 사람들을 바라보는 시선을 치밀하면서도 재치 있게 다룬다. ‘어머니’는 ‘빈 둥지 증후군’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 우울증을 앓는 어머니가 현실감각을 잃어 가는 모습을 심리극으로 보여 준다. ‘빈 둥지 증후군’은 중년 주부가 자기 정체성 상실을 느끼는 심리적 현상이다.

국립극단은 두 작품이 형식과 주제 면에서 닮은꼴인 점에 착안해 하나의 무대에서 한 편씩 교차 공연하는 것으로 기획했다. 동일 무대에 서로 다른 두 공연을 올리는 건 전례를 찾기 힘들다. 김윤철 국립극단 예술감독은 “두 작품은 관객으로 하여금 아버지의 머릿속에 들어가 아버지가 기억을 못 하고 착각하는 것을 그대로 경험하게 하고, 어머니가 환상과 현실을 오가는 것을 관객에게 그대로 드러낸다”며 “3인칭이 아닌 1인칭 시점에서 아버지·어머니를 경험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국립극단이 표방하는 ‘배우 중심’ 연극답게 연기력이 출중한 배우들이 주역을 맡았다. ‘아버지’에선 박근형(76)이 치매에 걸린 아버지 앙드레 역을, ‘어머니’에선 윤소정(72)이 ‘빈 둥지 증후군’을 앓는 어머니 안느 역을 맡아 열연한다.

박근형은 1958년 연극을 시작해 1964~1967년 국립극단 대표 배우로 활약했다. 2012년 ‘3월의 눈’ 등 간간이 연극 무대에 서긴 했지만 국립극단 작품은 1967년 이후 49년 만이다. “연극은 배우인 저를 만든 모태입니다. 언제든지 돌아오고 싶었고 어디서든 얘기하면 쫓아가 하고 싶었습니다. 오랜만에 명동예술극장에 다시 서게 되니 감회가 새롭습니다. 연극이 제 인생에서 제가 가는 길에 꽃을 피워 줬듯 마지막 가는 길도 연극으로 꽃을 피웠으면 합니다.”

윤소정은 2013년 ‘에이미’ 이후 3년 만에 연극 무대에 선다. “희곡을 처음 읽었을 때 깜짝 놀랐어요. 우리의 고정관념을 완전히 깨거든요. 배우로서 도전 의식이 들어 하게 됐는데 신경성 위염에 걸려 소화가 안 될 정도로 연기하는 게 쉽지 않네요. 후회는 되지만 고통이 없으면 작업하는 의미가 없는 것 같아요. 너무 쉬운 작품은 하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기도 하고요.”

두 배우는 당부도 잊지 않았다. “극중 주인공과 공감 가는 대목이 너무 많아요. 치매에 걸린 주인공이 내가 누군지도 모르고 시간이 가는지도 모르겠다는 이야기를 할 땐 눈물이 날 정도로 공감이 돼요. 이 공감을 전하기 위해 정말 마음에서 우러나는 연기를 하려고 해요. 연기를 잘한다, 못한다가 아니라 역할을 잘했나, 못했나로 평가해 주셨으면 합니다.”(박근형) “관객들이 이 작품을 통해 자기애를 보았으면 해요. 어떤 한 가지에 집착하지 말고 자기가 즐길 수 있는 어떤 일이 있었으면 해요.”(윤소정)

연출가 박정희가 ‘아버지’, 이병훈이 ‘어머니’ 연출을 맡았다. 다음달 13일 ‘아버지’를 먼저 선보이고 14일 ‘어머니’가 뒤를 잇는다. 8월 14일까지 하루씩 번갈아 가며 공연하고 주말엔 연이어 무대에 오른다. 2만~5만원. 1644-2003.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6-30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