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굽타 양식에 신라 美의식 함께 구현… 불상 뒤 銘文은 당대 한문학의 정수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굽타 양식에 신라 美의식 함께 구현… 불상 뒤 銘文은 당대 한문학의 정수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6-06-24 17:44
업데이트 2016-06-25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주 감산사터 두 석조불상

국립중앙박물관에 가면 경주 감산사터 석조아미타여래입상과 석조미륵보살입상을 만날 수 있다. 8세기 통일신라를 대표하는 불상이다.

미륵보살은 목과 허리를 엇갈리게 살짝 구부린 삼곡(三曲) 자세가 매력적이고, 온몸을 휘감고 있는 장신구도 우아하다. 상대적으로 아미타여래는 살집 있는 몸매에 키는 작달막하다. ‘석괴(石塊)의 제한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다. 재료가 그렇게 조각할 수밖에 없도록 생겼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국보 제81호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왼쪽·높이 183㎝)과 국보 제82호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높이 174㎝). 폐허가 된 경주 감산사터에서 1915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졌다.
국보 제81호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왼쪽·높이 183㎝)과 국보 제82호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높이 174㎝). 폐허가 된 경주 감산사터에서 1915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졌다.
●미술사 넘어 문학·사회사 풍요롭게

두 불상을 처음 봤을 때는 외래(外來) 조각가가 조성에 직접 개입한 것은 아닐까 생각이 들기도 했다. 그만큼 우리 고유의 미감(美感)과는 조금 거리가 있다. 미술사학자들의 느낌도 다르지 않았는지 불상의 시원인 간다라와 마투라를 아우르는 4∼5세기 인도의 굽타 양식이 중국을 건너 들어온 뒤 신라 특유의 미의식과 결합한 사례라고 설명하고 있다.

두 불상이 미술사를 넘어 문학사와 사회사까지 풍요롭게 하는 걸작으로 떠오르는 데는 명문(銘文)이 큰 몫을 했다. 아미타여래의 광배 뒷면에 21행 391자, 미륵보살에도 비슷한 자리에 22행 381자의 글자가 새겨져 있다. 김지성이 719년 어머니를 위해 미륵보살을, 아버지를 위해 아미타여래를 조성했다는 내용이다.

●김지성, 부모 위해 두 불상 조성한 내용

흥미로운 것은 이름이다. 미륵상에는 김지성(金志誠), 아미타상에는 김지전(金志全)이라고 서로 다르게 새겼다. 두 조상기(造像記)의 내용을 보면 김지성과 김지전은 분명 같은 인물이다. 김지성의 동생으로 등장하는 양성 역시 미륵상에는 양성(良誠)이라고 했지만, 아미타상에는 양성(梁誠)이라 새겼다.

양성은 ‘삼국유사’의 ‘남월산’(南月山)조에는 또 간성(懇誠)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신라시대 이름에 발음이 같은 한자를 뒤섞어 쓴 흔적은 적지 않다. 양성이 간성으로 바뀐 것은 신라시대 일을 고려시대에 적으면서 생긴 착오일 수도 있다. 그런데 김지성과 김지전은 같은 시대의 혼돈이라는 점에서 흥미롭다. 미술사학자와 역사학자, 국어학자가 힘을 합쳐야 실마리가 풀리지 않을까 싶다.

국문학자 조동일은 명문의 문학적 가치에 주목했다. ‘한국문학통사’에서 “이 명문은 전성기에 이른 신라 한문학의 정수”라면서 “두 조각이 미술사에서 획기적인 의의를 가지듯, 명문 또한 문학사에서 커다란 위치를 차지하는 명작”이라고 했다. 한글 번역문을 읽어 보면 수준 높은 수사법을 유려하게 구사하고 있다.

미륵조상기에는 “제자 성은 성세에 태어나 영화로운 관직을 역임했으나 지략이 없어 시폐를 바르게 하려다가 겨우 형(刑)과 법(法)에 걸리는 것을 면하였다”고 했으니 한마디로 ‘물불 가리지 않는 정의파’라는 찬사를 이렇게 에둘러 한 것이다. 아미타조상기에도 “용궁 같은 절이 우뚝 솟고 기러기 같은 탑이 아름다우니 사위성이 이런 경지이고 극락이 이런 모습”이라고 했으니 불법(佛法)에 감화된 신라의 모습을 이렇게 표현한 것이다. 사위성(舍衛城)은 석가가 성불하고 25년을 살았다는 기원정사가 있는 곳이다.

조 전 서울대 교수는 감산사 조상기가 “불상을 조성한 과정을 설명하는 데서 출발했지만, 6두품으로 더이상의 자리에 오를 수 없는 신분적 제약을 물리치고 자유로움을 동경하는 ‘문학’으로 획기적 발전을 보여 주었다”고 했다. 실제로 명문은 부모의 명복을 빌고자 불상을 봉안한다는 것이 요지이지만, 글쓴이 자신이 보탠 말이 더 많다. 정해진 사연을 적는 글을 이용해 자신의 심정을 술회하는 ‘문학 작품’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미륵상 명문의 한 구절은 한 편의 시”

그는 이 불상이 미술과 문학을 함께 존중해 창작한 신라인의 식견을 깨닫게 만든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미술은 미술이고, 문학은 문학이어서 다른 쪽의 사정은 알지 못하는 요즘 세태와는 다르다는 것이다.

그는 “조각의 아름다움을 해설하고 감탄하는 사람들이 늘어갈수록 명문은 더욱 무시되고 있다”고 안타까워한다. 유식함이 극도에 이른 시대의 무식함을 입증하는 단적인 사례라는 것이다. 무식하다는 소리를 듣지 않기 위해서라도 감산사 아미타여래와 미륵보살을 만나면 꼭 뒤로 돌아가 명문을 확인할 일이다.

미륵상 명문의 한 구절만 떼어내도 그대로 한 편의 시(詩)가 된다.

‘비록 이 몸이 다한다 하여도 이 원(願)은 무궁하며, 이미 돌이 닳아 버릴지라도 존용(尊容)은 없어지지 않는다. 구함이 없으면 과(果)도 없으니, 원(願)이 있다면 모두 이룰 것이다. 만일 이 마음을 따라 원하는 자가 있다면, 함께 그 선인(善因)을 지을 것이다.’

글 사진 dcsuh@seoul.co.kr
2016-06-25 17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