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개교회 중심·가족주의 등 얽혀 교회 세습 교단별 세습금지법 제정으로 뿌리 뽑아야

개교회 중심·가족주의 등 얽혀 교회 세습 교단별 세습금지법 제정으로 뿌리 뽑아야

김성호 기자
입력 2016-06-23 17:44
업데이트 2016-06-23 17: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회 세습, 하지 맙시다’ 보고서 발간 배덕만 기독연구원 교수

한국 개신교계의 세습 실상과 문제점을 집대성한 보고서가 발간돼 화제다. 교회세습반대운동연대(세반연)가 펴낸 ‘교회 세습, 하지 맙시다’(홍성사)가 그것으로 세습 교회의 규모며 시기, 전·후임 목사까지 도표로 실어 큰 파장이 예상된다. 이 보고서의 책임 집필을 맡은 배덕만(48·백향나무교회 담임) 기독연구원 느헤미야 교수를 23일 서울신문 편집국에서 만났다.

이미지 확대
교회세습반대운동연대가 펴낸 보고서 ‘교회 세습, 하지 맙시다’의 책임 집필을 맡은 배덕만 기독연구원 느헤미야 교수. 교회 세습은 교회 세속화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으로 목회자의 적극적인 교단법 개정 운동과 일반 신도들의 인식 개선이 긴요하다고 힘주어 말한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교회세습반대운동연대가 펴낸 보고서 ‘교회 세습, 하지 맙시다’의 책임 집필을 맡은 배덕만 기독연구원 느헤미야 교수. 교회 세습은 교회 세속화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으로 목회자의 적극적인 교단법 개정 운동과 일반 신도들의 인식 개선이 긴요하다고 힘주어 말한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교회 세습은 근본적으로 어떤 현상으로 봐야 하나.

-세상적인 측면에서 한 교회에 집중된 부와 권력을 자식에게 고스란히 물려주는 것이다. 사랑과 희생의 가치를 선양하고 물려줘야 할 교회가 부와 권력을 누릴 수 있는 현장으로 타락한 것이다. 한마디로 교회 세속화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이라 할 수 있다. 세습 자본주의와 신학교 증설에 따른 무한경쟁, 성장지상주의와 개교회(個敎會) 중심주의가 가족주의와 얽히면서 기이한 현상을 낳은 것이다.

→세습의 형태도 다양하게 변질되고 있다는데.

-몇 년 전부터 교단들이 세습금지법을 잇따라 마련하면서 변칙적 현상이 확산되고 있다. 부모가 담임목사나 장로로 있는 교회의 경우 자식들이 연이어 세습을 못하도록 한 규정을 피해 가는 경우가 많다. 중간에 이름뿐인 목사를 잠시 모셨다가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자식이나 사위를 담임으로 책정하는 징검다리 세습이 대표적이다. 교회 돈으로 개척교회를 세워 자식을 담임으로 앉히는 지교회 세습이나 아버지 교회와 아들의 교회를 통합해 자연스럽게 세습하는 통합세습도 흔하다. 그런가 하면 친구 목사의 아들과 자기 아들의 교회를 맞바꿔 담임으로 세우는 교차세습도 적지 않다.

→한국 개신교에 세습이 끊이지 않는 근본적인 이유는.

-우선 시장 논리로 볼 때 신학생 배출이 과다한 탓이 크다. 수요에 비해 공급이 너무 많다. 담임목사 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개척교회 안정화 역시 여간 힘든 게 아니다. 이 부분에서 험난한 종교시장에 자식을 내보내기 싫어하는 아버지 목회자들이 개입하는 것이다. 개신교계에서도 ‘금수저, 흙수저론’이 그대로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

→세반연의 세습 반대 운동 성과라면.

-우선 교단들의 세습금지법 마련이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감리교를 시작으로 예장통합, 기장, 예장고신 등 4개 교단이 총회에서 세습금지법을 통과시켰다. 명성교회처럼 세습하려는 교회들에 압력을 가해 막은 경우도 많았다. 세습과 관련해 분쟁 중인 교회들에 효과적인 자문을 한 것도 큰 역할이다. 무엇보다 세습이 문제라는 사실을 인식시켜 여론과 관심을 확산시킨 점이 세습 방지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한 것으로 여긴다.

→대형 교회들의 각성과 개선 움직임은 없는가.

-상당히 많은 대형 교회들은 이미 세습을 완료한 것으로 관측된다. 그런 한쪽에서 반성과 개선에 나서는 교회들이 점차 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세습을 할 만한 데도 자발적으로 세습을 안 하기로 결정한 대형 교회들도 눈에 띈다. 하지만 개교회들의 근본적인 각성과 개선 노력은 아직 턱없이 부족한 편이다.

→세습과 관련해 교회와 목회자들이 꼭 새겨야 할 부분이라면.

-세습 반대 운동은 단지 한 개의 시민단체가 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다. 우선 교단 내에서 개교회들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긴요하다. 궁극적으로 세습을 뿌리 뽑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향은 교단별로 확고한 세습금지법을 제정하는 것이다. 그런 차원에서 개교회의 정책 담당 목회자들이 교단법 개정 운동에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 여기에 교인들의 인식과 역할도 중요하다. 교회가 사유화돼선 안 된다는 각성이 절대적인 만큼 교인들의 계몽운동을 병행해야 할 것으로 본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6-06-24 24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