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생명의 窓] 잡초와 약초/정찬주 소설가

[생명의 窓] 잡초와 약초/정찬주 소설가

입력 2016-06-10 23:04
업데이트 2016-06-11 00: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가 사는 산방의 마당은 경사가 사립문 쪽으로 5도 정도 기울어 있다. 비가 내리면 마당의 물은 곧장 사립문으로 흘러 나간다. 배수가 아주 좋은 편이다. 그러나 한두 가지의 단점도 있었다. 비가 올 때마다 물이 너무 잘 빠져 마당의 흙이 쓸려 나가기도 하고 골이 패곤 했던 것이다. 그래서 마당에 잔디를 심자는 묘수를 생각해냈다. 뗏장은 어렵지 않게 면 소재지에서 구할 수 있었다. 뗏장의 평당 가격은 기억나지 않지만 아무튼 잔디가 다 덮이고 나서는 폭우가 쏟아져도 마당 걱정은 하지 않게 되었다. 벽돌 크기만 한 뗏장을 듬성듬성 놓아두었더니 일 년 만에 위아래 마당이 모두 잔디밭으로 바뀌었던 것이다.

이미지 확대
정찬주 소설가
정찬주 소설가
손님들은 단정한 잔디 마당을 보고는 이구동성으로 감탄하곤 했다. 잡초 한 포기 없는 푸른 잔디 마당은 시원하고 말끔했다. 팔순 어머니께서 “아이고 허리야” 하시면서도 아침마다 호미를 들고 사셨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어머니가 광주로 나가신 뒤부터 잔디 마당은 곧 잡초밭으로 변했다. 글을 쓰려고 낙향한 내가 잡초와 씨름만 하고 있을 수가 없었으므로 이웃 농부에게 부탁하여 예초기를 돌리기도 했지만 한철만 지나고 나면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 버렸다.

이른바 잡초라고 불리는 망초, 질경이, 민들레, 토끼풀, 쑥 등이 창궐했다. 키가 작고 실뿌리가 억센 놈들은 호미로 뽑고, 망초 같은 덩치가 큰 풀들은 손아귀 힘을 썼지만 결국 나는 두 손을 들 수밖에 없었다. 망초를 뽑던 오른쪽 어깨에 통증이 와서 물리치료를 받게 되었던 것이다. 물리치료를 받으면서 깨달은 것이 하나 있다. 오른쪽 어깨 근육통은 망초들의 복수가 틀림없다는 사실이었다. 살려고 사력을 다해 버티는 망초들을 인정사정없이 뽑아댔으니 어깨에 무리가 올 수밖에 없었을 거라는 반성을 했다. 뽑히고 나서도 흙을 달고 있는 망초의 잔뿌리를 보고 있노라면 그런 생각이 더욱 들었다. 또한 작년부터는 잡초들이 약초가 된다는 것도 알았다. 그러니까 쓸모 있는 어린 생명들이 나의 편견과 주관에 의해서 잡초로 불리며 홀대를 받았던 셈이다.

올봄부터 나는 마당에서 자라는 잔디와 잡초를 차별하지 않기로 했다. 다만 그것들이 웃자랄 때만 사람 이발하듯 예초기를 이용해 손봐주기로 했다. 그러자 뜻밖에 하나둘 변화가 생겼다.

특히 위채 마당은 민들레가 삼삼오오 뿌리 내리더니 아예 노란 민들레 꽃밭으로 변했다. 이제는 민들레 꽃들이 다 지고 꽃대만 쑥 올라와 하얀 솜사탕 같은 홀씨를 달고 있다. 꽃대는 민들레 꽃이 핀 자리보다 두세 배의 키로 솟구쳐 있다. 도회지 사람들은 민들레 꽃대가 왜 저렇게 애를 쓰고 있는지 모를 것이다. 나는 민들레 꽃대를 볼 때마다 경외감을 느끼곤 한다. 자신의 씨를 먼 곳까지 많이 퍼트리기 위해 있는 힘을 다해 꽃대를 위로 밀어올리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은 저 민들레들이 생전의 박완서 선생을 생각나게 하고 있다. 선생은 수년 전에 내 산방을 찾아와 하얀 민들레 꽃 무리를 보시고 서울의 당신 집에 심겠다고 캐 가셨던 것이다. 그날 선생의 모습은 영락없는 사춘기 소녀였다. 그 민들레가 지금도 선생 댁에서 하얀 꽃을 피우고 있는지 궁금하다. 한국문학의 큰 자산이 된 작가에게 선택받은 유일한 민들레가 아니었을까도 싶다. 박완서 선생이 내게 선물로 주셨던 책이 ‘꼴찌에게 보내는 갈채’란 산문집이었다. 지금 생각해 보니 내가 한때 구박했던 내 산방 마당의 잡초들에게 사랑의 박수를 쳐 달라는 부탁이었던 것도 같다.
2016-06-11 2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