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 9명, 지난해 작가 탄생 100주년 맞아 쓴 9편 엮어
“그런데 참 이번 기집애는 어린것이 여간 잔망스럽지가 않어. 글쎄 죽기 전에 이런 말을 했다지 않어? 자기가 죽거든 자기 입은 옷을 꼭 그대루 입혀서 묻어달라구….”황순원문학촌장인 김종회 경희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이번 작업은 우리가 함께 안타까워하고 한숨짓던 가슴 설레는 어떤 가능성의 멸실, 어쩌면 속절없이 멸실되었기에 더 순후하게 슬프고 아름다울 수 있었던 그 가능성을 오늘의 시각과 문맥으로 다시 되살려보는 데 뜻이 있었다”며 “9편의 글은 소년 소녀가 나눈 맑고 여린 첫사랑 이야기를 기발하고 여운 있게 형상화한 수작들”이라고 소개했다.
손보미의 ‘축복’은 소년과 소녀의 아름다운 동행을 질투하는 또 다른 소녀 ‘나’를 들여보낸다. 까맣고 못생긴 ‘나’는 자신과 너무도 다른 소녀를 좋아하는 소년의 모습에 소녀가 죽어버리길 바란다. 실제로 소녀가 세상을 떠나자 ‘나’는 더이상 소년의 곁에 있을 수 없다는 걸 깨닫는다.
이혜경은 ‘지워지지 않는 그 황토물’이란 단편에서 중학교를 마치고 공장에 취직한 소년이 여전히 소녀의 곁을 맴돌고 있는 모습을 그린다. 소년은 산을 넘어 등·하교할 때마다 산에 묻힌 소녀와 대화를 나눈다. 공장에서 일하면서도 잡지에서 소녀와 닮은 여학생 사진을 보고 몰래 찢어 품고 다닌다.
조수경은 노년이 된 소년을 ‘귀향’이라는 제목으로 써냈다. 중학생 때 가족과 고향을 떠나서도 소녀를 잊지 못한 소년은 결국 소녀와 닮은 여자와 결혼한다. 노년의 아내는 치매에 걸려 벌거벗은 채 옛 연인의 이름을 부른다. 아내를 두려워하며 아내의 목을 조르고만 그는 고향의 꽁꽁 언 개울가에 드러눕는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6-06-08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