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마음의 근심까지 푸는 곳… 산사의 뒷간 ‘해우소’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마음의 근심까지 푸는 곳… 산사의 뒷간 ‘해우소’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6-05-20 17:42
업데이트 2016-05-21 0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절의 화장실이 문화재가 된 이유

법정 스님의 마지막 거처는 강원도 오대산 깊은 산골의 오두막이었다. 돌벽으로 쌓아 올리고 허리에 서툴게 기와를 쌓아 멋을 낸 해우소에는 작은 판자 하나가 끈에 걸려 있었다. 앞뒤에 ‘open’과 ‘closed’라고 써서 카페나 레스토랑에 달아놓은 푯말과 비슷하다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스님은 해우소에 들어갈 때는 ‘나 있다’를 걸었고, 나올 때는 ‘기도하라’는 글자가 보이도록 돌려놓았다. 둥글게 벽을 말아 둘러친 해우소는 바람이 드나들 수 있도록 문짝을 달지 않았다. 이 푯말이 있어 드나드는 사람들이 마주쳐 어색한 미소를 짓는 일은 일어나지 않았겠지만, 해우소에 들어서는 스님들의 마음은 가볍지 않았을지도 모르겠다.

이미지 확대
전남 문화재 자료로 지정된 순천 선암사 측간. 문화재청 제공
전남 문화재 자료로 지정된 순천 선암사 측간.
문화재청 제공
●보석사의 ‘시유불다’ 거꾸로 하면 ‘다불유시’(WC)?

그런가 하면 충남 금산 보석사의 해우소에는 ‘시유불다’(時有不多)라고 적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시간이 있는 것 같아도 많은 것이 아니다’쯤으로 읽을 수 있으니 뭔가 철학적 냄새가 풍긴다. 더욱 깊은 뜻이 있다는 것은 ‘다불유시’라고 거꾸로 읽어 보면 안다. 영어의 WC(water closet)를 이렇게 쓴 것이다. 임진왜란 당시 의승군을 이끌고 청주성을 탈환한 영규 대사가 수도한 절이다. 유서 깊은 절, 참신한 감각을 지닌 스님의 위트가 놀랍다.

요즘엔 누구나 산중 사찰의 뒷간을 해우소라 부른다. 하지만 생각보다 오래된 표현은 아니라고 한다. 통도사 극락암의 조실이었던 경봉(1892~1982) 스님은 1950년대 어느 날 화장실에 해우소(解憂所)와 휴급소(休急所)라는 푯말을 내걸었다. 큰일을 보는 공간이 해우소, 작은 일을 보는 공간이 휴급소다. 스님은 “휴급소에서 급한 마음을 쉬어 가고 해우소에서 근심 걱정을 버리고 가면 그것이 바로 도를 닦는 것이 아니겠느냐”고 했다.

경봉은 “세상에서 가장 급한 일은 자신이 누구인지를 찾는 것인데 중생은 화급한 것은 잊고 바쁘지 않은 것을 바쁘다고 한다”면서 “해우소는 쓸데없이 바쁜 마음을 쉬어 가라는 뜻”이라고 했다. 마음의 근심까지 푸는 여유를 찾으라는 뜻이다. 법정이 해우소에 들어서면서 ‘기도하라’고 다그친 것도 본질에 충실하라는 뜻에서는 다르지 않을 것 같다.

절의 화장실로는 전남 순천 선암사 측간(厠間)과 강원도 영월 보덕사 해우소가 시·도 문화재 자료로 지정되어 있다. 모두 산지 사찰의 지형적 특성을 이용해 누각식으로 지었다. 용변을 보는 곳과 배설물이 쌓이는 곳의 고저 차이가 매우 크다. 선암사에는 ‘정월 초하루에 힘을 주면 섣달그믐에 떨어지는 소리가 들린다’는 우스개가 있을 정도다. 여기에 산바람이 사시사철 부니 코를 막는 수고로움은 필요하지 않았다. 이런 이치를 잘 보여 주는 절이 전북 완주 화암사다. 불탑을 쌓아 올리듯 해우소를 높다랗게 지어 놓았다.

해우소 배설물은 퇴비가 되어 자연으로 돌아간다. 언젠가 찾은 전북 남원 실상사의 해우소는 새로 지었음에도 이런 원리를 살려 놓아 기억에 남아 있다. 월정사 원행 스님의 산문집에도 비슷한 얘기가 있다. 겨울을 나는 김장 채소는 해우소 거름으로 큰다는 것이다. 그의 은사는 구겨진 포장지를 일일이 다리미로 다린 뒤 손바닥 크기로 오려 해우소에 매달아 놓았다. 옆에는 ‘일회삼매이상불가’(一回三昧以上不可)라고 적었다. 한 번에 석 장 이상 쓰지 말라는 검약의 가르침인데, 삼매(三枚)가 아니라 깨달음의 경지인 삼매(三昧)라고 쓴 것이 묘미다. 해우소에서도 수행 정진을 게을리하지 말라는 농중진담이다.

●길상사 ‘정랑’은 도시락 먹어도 될 만큼 깨끗

역시 법정 스님이 머물던 서울 성북동 길상사는 해우소 대신 정랑(淨廊)이라고 부른다. 겉보기에는 별다른 특징 없이 콘크리트로 새로 지은 혼해 보이는 현대식 건물이다. 그런데 이곳은 특이하게 전실(前室)에서 신발을 갈아 신도록 만들어 놓았다. 그런데 그 간단한 절차가 마치 세속의 공간에서 정화된 공간으로 들어서는 일종의 의식처럼 느껴진다.

내부는 둘러앉아 도시락을 먹어도 좋을 만큼 깨끗하다. 다른 사람의 느낌도 나와 다르지 않았으니 이토록 정결할 수 있었을 것이다. 깨끗하기 어려워 깨끗함을 강조한 정랑이라는 표현이 결코 역설이 아니다. 길상사 정랑은 그저 흔하게 볼 수 있는 공중화장실의 모습이지만, 자연스럽게 실천행(實踐行)을 이끈다는 점에서는 충분히 문화재적이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6-05-21 18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