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음악의 전설’ 아코디언 연주자 심성락 옹
자택 화재로 수십 년 ‘지기’ 잃어… 伊 제작사 “전폭 지원” 연락해 와가수 열에 아홉·대통령들 반주도 “비결은 집착”… 30일 이대 공연
‘대중음악의 전설’로 불리는 팔순의 아코디언 연주자 심성락(80). 그는 최근 사반세기를 함께해 온 악기를 잃었다. 이달 초 서울 군자동 자택에 불이 나면서 악기도 잿더미가 됐다. 늘 현관 옆에 두던 거라 집어 왔으면 될 테지만 그럴 정신도 없었다. 48㎏의 왜소한 체구에 30㎏ 무게의 악기를 번쩍 들기도 어려웠다. 오랜 지기를 잃었지만 그의 얼굴은 고요했다.
아코디언 연주자 심성락은 음악만 들으면 터지는 눈물샘이 ‘지금’을 만들었다고 했다. “한국전쟁이 터진 중1 때 선생님이 극장에 데려갔는데, 영화 보고 학교에 도착할 때까지 울었어요. 지금도 내 경험이나 사건이 슬퍼 우는 게 아니라 음악에 감정이 움직여 울어요. 그 바람에 내가 ‘딴따라’가 된 것 같아요(웃음).”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심성락의 연주 이력을 꿰어 보면 그대로 한국 대중음악사가 된다. 패티김, 이미자, 나훈아, 조용필, 이승철, 신승훈, 김건모 등 국내 가수 열에 아홉의 음악은 그의 연주에 빚졌다. 현재 한국음악실연자연합회에 등록된 그의 연주곡만 7500여곡, 음반은 1000여개에 이른다.
일본 교토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때 한국으로 건너온 그는 고1 때 부산 광복동의 악기상에서 처음 본 아코디언을 저절로 연주할 만큼 재능을 타고났다. 부산 KBS 방송국에서 ‘고등학생 악사’로 활동하던 그는 고2 때 자퇴하며 연주자로 나섰다. 1970년대 초반엔 색소폰 연주자 이봉조의 소개로 김종필 전 총리의 전자오르간 교습 선생을 지냈다. 그 인연으로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의 노래 반주를 하면서 ‘대통령의 악사’로도 불렸다.
음악 정규교육을 받지도 않았고, 연습을 오래 하지도 않는다. 하지만 한번 들은 곡은 다 외워 연주할 수 있다. 대가는 “비결은 집착”이라고 했다.
“집착이 연습만큼 중요해요. 어떤 곡을 연주하게 되면 잘 들으면서 상상을 해요. 어느 손가락이 어디로 가서 어떻게 연주할지 누워서 천장을 보며 피아노 건반으로 상상을 하는 거죠. 노래도 불러 봐요. 그게 아니면 몇 번이고 고치고…. 그런 상상력과 집착이 내 재주라면 재주였죠. 제대로 교육은 못 받았지만 대충대충은 못 참았어요. 누가 대충대충 연주하자 하면 아코디언을 집어던졌어요.”
그는 그렇게 애착을 품어 온 음악 인생을 2010년 스스로 끝맺으려 했다. 지인들에게 이용당하면서 받은 상처, 다른 동료들에게 피해를 입힌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나이드니 건망증이 심해져 곡 순서를 다 적어 놓고도 무대에서 안 보여 애를 먹었어요. 다른 사람에게 더 피해 주기 전에 내가 그만두자 한 거죠.”
그러나 무대는, 음악은, 그를 가만히 내버려 두지 않았다. 2009년에는 첫 솔로 앨범을 발표했고, 2011년 후배들은 그만을 위한 헌정 무대를 꾸몄다. 최근까지도 한대수 새 앨범에 참여하는 등 팔순의 나이에도 크고 작은 음악 활동을 이어 왔다. 오는 30일 서울 이화여대 삼성홀에서 열리는 현대음악축제 ‘라잇 나우 뮤직 2016’ 무대에 가야금 명인 황병기, 반도네온 연주자 고상지를 비롯해 박경소, 박종화, 플럭스 쿼텟, 만트라 퍼커션 등 국내외 음악인과 나란히 선다.
악기는 불탔지만 지인이 빌려준 악기로 관객과 만나는 그에게 또 다른 희소식도 날아들었다. 그가 쓰던 5열식 아코디언을 제작한 이탈리아 파올로소프라니 본사에서 “반세기 이상 우리 악기를 써 준 연주자가 화재로 악기를 잃었으니 어떤 지원도 아끼지 않겠다”는 메일이 온 것이다.
“수많은 무대와 사람을 거쳤지만 1950~1960년대 다방에서 매일 음악만 듣던 그 시절이 가장 행복했어요. 그 시절 듣던 음악이 내가 지금까지 연주하며 살 수 있도록 도와준 거죠. 그때 명연주자들을 보면 악기회사에서 특별히 헌정한 악기로 연주하는 경우가 많았거든요. 내가 그 주인공이 될 수도 있다니 울컥 눈물부터 나데요.”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6-04-26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