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상협 경희대 미래정책원장
대학의 존재 이유는 ‘교육’과 ‘연구’다.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 함께 인류 문명의 진보를 위한 다양한 연구 활동은 지금까지 사회의 발전을 이끄는 원동력이었다. 하지만 대학은 시대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책무도 있다. 이 때문에 대학의 존재 이유가 흔들릴 때도 있다.
지금이 바로 그런 때다. 일자리 부족으로 청년 세대가 낙담하는 그야말로 ‘좌절의 시대’다. 대학에서 아름답게 피었던 꽃이 일자리 부족으로 사회에 나가기 전 시들어 버리고 빛을 잃는 모습도 종종 본다. 교육과 연구로 충만해야 할 청춘이 사회에 나가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 그 고민 탓에 교육과 연구 대신 ‘스펙’을 쌓고자 오늘도 청춘은 방황한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 정부는 뚜렷한 해결 방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빠르게 변하는 사회 흐름에 맞춰 인재를 배출해야 하는 대학의 고민도 점점 더 깊어만 갈 수밖에 없다.
대학의 이런 고민을 위해 시작된 게 바로 ‘산업연계교육활성화선도대학사업’(프라임 사업)이다. 프라임 사업은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산업의 수요 변화에 대응하도록 미래 유망 분야의 인력 양성을 조정하는 대학을 정부가 지원하는 사업이다. 선정된 대학에는 2018년까지 매년 총 2000억원의 지원금을 준다. 미래 산업 수요에 맞춰 대학의 기존 학문 단위를 조정하거나 학과 정원을 조정한 대학의 노력을 평가해 선정된 대학에 예산을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한마디로 21세기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길러 내는 데 필요한 대학의 변화를 프라임 사업을 통해 시작하겠다는 뜻이다.
하지만 대학들이 요즘 이 사업을 준비하면서 많은 진통을 겪고 있다는 소릴 듣는다. 어느 대학은 수백 명을 줄인다 하고 이에 따른 교내 잡음이 보도되면서 논란을 빚고 있다. 대학의 처지에서 볼 때 학과 정원 조정이 쉬운 일은 아니다. 학과 간 이익이 첨예하기 때문에 누군가가 독단적으로 결정 내리기도 불가능하다.
또 대학은 대학마다 고유의 창학 이념이 있고 이를 위한 고유한 발전계획도 갖고 있다. 미래 사회 변화 및 수요를 기반으로 학문 변화를 꾀하는 것은 대학의 책무이고 융합 학문의 중요성 역시 누구나 공감하지만 프라임 사업으로 대학별 학문 분야의 차별성·고유성 및 독립성이 훼손될 가능성도 있다. 대학 입장에서 이 같은 프라임 사업의 역기능에 대해 비판하자면 밤새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프라임 사업의 목표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알고 공감하기에 섣불리 비판하기가 어렵다. 온갖 잡음에도 프라임 사업이 추구하는 큰 방향은 옳다는 게 대학의 공통적인 생각일 것이다. 미래 사회 변화 및 산업 수요를 반영한 프라임 사업은 대학 변화를 이끌고 학문 단위의 최적화를 고민하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는 측면에서 분명히 긍정적이다.
하지만 지원금을 놓고 경쟁을 벌이는 이 프레임 자체는 대학에 또 다른 압박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기초학문에 대한 충분한 고민, 대학의 역할과 특성화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위한 충분한 시간이 부족하다는 대학들의 우려 섞인 시각도 분명히 존재한다.
대학 무한경쟁 시대가 되면서 막대한 지원금이 걸려 있는 프라임 사업에 대해 대학이 낼 수 있는 목소리는 작아질 수밖에 없다. 지원금을 주는 교육부는 이런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한다. 프라임 사업이 고등교육의 환경 변화에 따른 대학의 역할, 대학별 학문 경쟁력을 기반으로 산업 수요에 대응하고 대학 자체적으로 진지한 성찰과 고민을 통한 대안이 도출되도록 앞으로도 이를 지원하고 보완, 강화해야 한다.
프라임 사업이 대학 스스로 자율적으로 고등교육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대학의 공공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계기가 됐으면 하는 바람도 가져 본다. 동시에 대학의 변화를 안착시키도록 프라임 사업을 지속적으로 이어 나가는 교육부의 모습도 기대해 본다. 무엇보다 사업의 가장 큰 목표는 꽃과 같은 우리 학생을 활짝 피어나게 하기 위함이라는 사실을 대학도, 교육부도 잊지 않길 바란다.
2016-04-1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