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손성진 칼럼] 중도학자는 실종인가

[손성진 칼럼] 중도학자는 실종인가

손성진 기자
입력 2015-10-28 23:04
업데이트 2015-10-29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손성진 논설실장
손성진 논설실장
좌만 입이 있고 우만 떠들 줄 안다. 어김없이 중도는 실종이다. 국사 교과서를 둘러싼 대립의 틈바구니에서 중도는 침묵한다. 전국의 좌파, 우파가 들고일어나는데도 중도의 목소리는 들을 수가 없다. 무기력에 빠져 숨어버린 것일까.

어찌 보면 이념의 목적은 이익이다. 종착지는 결국은 이기주의인 것이다. 부르주아는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프롤레타리아는 기득권을 빼앗기 위해 싸워 왔다. 그것이 이념의 역사다. 국가와 민족이라는 대의명분이 목표, 목적이 아니다.

불교에서 중도는 무욕(無慾)이다. 고(苦)와 락()을 떠난 진정한 실천수행이다. 집착된 견해에서 벗어나 모든 사물과 현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사실대로 표현하는 것이다. 그러자면 현명하고 냉철해야 한다. 중도도 방향성이 있다. 방향 없는 중도는 교활이지 중도가 아니다.

중도는 극단과 이분법적 사고를 싫어하는 합리주의다. 어떤 좌우의 이론도 100% 진리일 수는 없다. 좌우 극단주의자들은 완전한 진리 아닌 진리를 진리라 믿고 신봉하는 사람들일 뿐이다.

중도는 통합이다. 중간에서 타협을 모색한다. 중재자인 것이다. 중도는 쉬 지친다. 그러곤 숨는다. 그래서 비겁해 보인다. 역대 국사 교과서가 실패한 원인은 중도가 역할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역사는 과거의 사건 자체가 아니라 의미에 대한 서술이라고 한다. E H 카는 “역사의 진보는 사실과 가치와의 상호의존과 작용을 통해서 이룩된다”고 했다. 가치판단이 없는 역사는 있을 수 없다.

그러나 스펀지가 물을 빨아들이듯 가르침을 여과 없이 받아들이는 청소년들에게 우든 좌든 편향된 역사관을 심어주는 것은 위험하다. 어릴 때 먹었던 음식에 인이 박이듯 잘못된 사실의 주입은 교정하기가 쉽지 않다. 하얀 도화지에 뿌린 물감을 지우기 어려운 것과 같다.

그래서 중고생용 국사 교과서는 팩트(사실)의 서술이 생명이다. 팩트에 근거하지 않은 역사는 역사가 아니다. 사실 자체를 부정하는 일본의 역사 날조를 역사로 인정할 수 없는 것과 동일하다.

검인정이든 국정이든 국사 교과서의 최우선 가치는 객관적인 사실의 서술이다. 객관적인 사실이란 누구도 토를 달 수 없는 움직일 수 없는 진실이다. 6·25가 북침이라는 주장은 그래서 교과서에 들어갈 수 없고 가르쳐서도 안 된다. 임진왜란을 조선이 일본에 쳐들어간 전쟁이라고 할 수 없는 것과 같은 말이다.

역사적 사실에 대한 가치판단은 중고 국사교사서라고 해서 피해갈 수는 없다. 그러나 최소화하는 게 맞다. 또 그 가치판단은 외눈박이처럼 일방에 치우치지 않아야 한다. 어떤 인물과 사건이라도 양면성이 있기 마련이다. 이승만을 위대한 독립운동가로서만 보거나 악랄한 독재자로만 보지 말자는 것이다. 최남선이 친일파라고 해서 그의 문학적 업적까지도 무시하지는 않듯이 말이다.

객관적·중립적인 교과서의 편찬은 중도 또는 중립적 학자들의 몫이다. 역사학계에도 중도 학자들이 없을 수 없다. 국정교과서 파문의 책임은 사실 중도 학자들에게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편향인 교학사 교과서나 좌편향이라는 8종의 교과서 외에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엄정 중립의 교과서가 진작에 나왔어야 했다. 중립학자들의 일종의 직무유기다.

그런 점에서 정부의 국정화 방침이 퇴행적이기는 하지만 무조건 탓할 수도 없다. 다만, 국정화를 밀고 간다면 관건은 엄정한 중립이다. 역사를 왜곡하거나 미화한 교과서는 절대로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박근혜 대통령은 말했다. 이 약속에 대한 믿음을 얻으려면 정책적으로 보여줘야 한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의 제안이 눈길을 끈다. 국정화를 돌이킬 수 없다면 국정교과서는 중립적 인사들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통해 내용의 객관성을 평가받아보자는 제안이다. 중립적 학자들로 구성된 독립적인 편찬 조직을 만들어 전권을 부여하는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업보와도 같이 우리를 짓누르는 이념 대립에서 속히 탈피하는 길은 이제부터 어떻게 하느냐에 달렸다.
2015-10-29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