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울광장] 우물 속 한국 언론을 고민할 때다/진경호 편집국 부국장

[서울광장] 우물 속 한국 언론을 고민할 때다/진경호 편집국 부국장

진경호 기자
진경호 기자
입력 2015-08-07 23:48
업데이트 2015-08-08 01: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월스트리트저널, 르몽드, 뉴스위크, 워싱턴포스트, 포브스, 파이낸셜타임스, 이코노미스트…. 이들 굴지의 글로벌 언론매체들은 지구촌 여론을 쥐락펴락한다는 것 말고 또 하나의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지난 10년 안에 주인이 바뀐 매체들이라는 점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은 2007년 ‘언론재벌’ 루퍼트 머독에게 56억 달러에 팔렸고, 워싱턴포스트는 2013년 인터넷 쇼핑몰 아마존닷컴 회장 제프 베저스가 2억 5000만 달러를 주고 샀다. 지난달엔 영국 경제지 파이낸셜타임스가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에 팔렸다. 8억 4400만 파운드, 1조 5000억원이 오갔다.

이미지 확대
진경호 부국장 겸 사회부장
진경호 부국장 겸 사회부장
한데 이들 매체의 중요한 공통점은 따로 있다. 매각 이후 빠른 속도로 종이신문에서 디지털미디어, 다시 말해 종이가 아니라 인터넷과 모바일을 주된 뉴스 공급 수단으로 삼는 매체로 전환하고 있다는 점이다. 뉴욕타임스처럼 매각 여부와 관계없이 변화를 선도하는 매체도 여럿 있다. 새 주인의 강력한 혁신 의지와 막강한 자본이 동력이 되고 있다.

지난 6월 미국 워싱턴에서 진행된 제67차 세계신문협회 연차총회는 막이 오른 뉴저널리즘 시대의 격랑을 헤쳐 가기 위해 유수의 언론매체들이 얼마나 치열하게 몸부림치고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 줬다. 기술 변화에 맞춰 새로운 뉴스 형식을 개발하는 건 기본이다. 어떤 독자가 무슨 뉴스를 좋아하는지, 그리고 하루 가운데 언제 어떤 기사를 독자들이 찾는지를 끊임없이 탐구하고 분석한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자의 특성을 파악해 페이스북과 트위터에는 정치 뉴스를 앞세우고 사진과 이미지 등을 주로 공유하는 핀더레스트 같은 SNS에는 여행이나 패션 같은 라이프스타일 관련 뉴스를 앞세운다. ‘뉴스 로봇’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다. 스포츠 경기나 날씨, 주식처럼 통계 수치를 바탕으로 한 기사에 적극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 중이다.

나라 안으로 눈을 돌려본다. 정보통신기술(ICT) 선진국임을 자부하는 나라이건만 적어도 언론, 특히 문자매체에서 이런 세계적 흐름은 말 그대로 강 건너 얘기일 뿐이다. 저마다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한 뉴스 전달에 부심한다지만 종이신문 기사를 온라인에 옮겨 싣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종이신문에서 눈을 떼는 독자들을 보면서도 대다수 문자매체들은 새로운 수익 모델을 개발하지 못한 채 지금도 종이신문에 매달리고 있는 게 현실이다. 그렇다고 종이신문이 예전처럼 남는 장사도 아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에 따르면 지난해 11개 전국종합일간지의 매출 총액은 1조 4154억원으로, 전년보다 415억원 줄었다. 2013년 3.82%가 줄어든 데 이어 2.85% 더 줄었다. 당기순이익은 더 심각해 24.6%가 줄었다. 신문 판매 수익도, 광고 수익도 매년 줄고 있다. 대다수 언론사가 적자를 면한 걸 다행으로 여길 만큼 한계선상의 경영 수지에 허덕이고 있다. 이런 터에 뉴미디어 시대를 대비한 자본 투자는 꿈도 못 꿀 일이다. 종이매체들만의 일도 아니다. 6000개를 넘어선 군소 인터넷매체의 열악한 경영 환경은 저널리즘의 기본 가치마저 위협한다. 메르스 사태를 다루는 대담 프로그램에 ‘붙박이’ 정치평론가를 내세우는 종합편성채널의 ‘몰염치’도 따지고 보면 돈이 없기 때문이다.

기자들 월급이 줄어들까 걱정돼 하는 얘기가 아니다. ‘가난한 언론’의 폐해가 지금 우리 사회 전체를 멍들게 한다는 게 문제라는 얘기다. 언론이 돈이 많이 드는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할 능력이 없다 보니 이념이나 정파적 주장을 앞세우는 편향 보도와 선정 보도에 매달리고, 이런 편가르기식 보도 태도가 사회적 관용을 해치고 사회 통합을 저해하고 있는 것이다.

세월호 참사와 메르스 사태 같은 대형 사건을 겪으면서 질 낮은 언론 보도를 질타하는 목소리가 거세다. 언론사의 판촉 활동에 시달리다 못한 광고주협회는 ‘나쁜 언론’ 명단을 작성해 흘리기도 했다. 마땅한 비판들이고 항변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언론에 채찍을 가하는 것만으론 해법을 찾기 어려울 듯하다. 시대 요구에 부응할 언론을 만들기 위해 우리 사회가 뭘 해야 하는지를 이제 고민해야 한다. 앞선 ICT를 바탕으로 한국 언론이 지구촌 뉴저널리즘을 선도할 수 있도록 할 방안을 찾는 데 정부와 정치권, 기업, 언론이 머리를 맞대야 한다.
2015-08-08 23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