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스타 김태희가 복귀작으로 검토 중인 SBS ‘용팔이’도 돈에 혈안이 된 왕진 의사가 한 여자를 만나 변화하는 스토리를 그린 웹툰 원작의 드라마로 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서 흥미로운 전개로 일찌감치 관심을 모았다. 신민아도 웹툰을 원작으로 한 SBS ‘저녁 같이 드실래요’로 3년 만에 안방극장에 돌아올 채비를 하고 있다. 20~30대 젊은이들의 현실적인 일과 사랑을 그린 작품으로 신민아는 매사 손해만 보는 비정규직 여성 김춘숙 역을 맡을 예정이다. 7월 방영 예정인 만화 원작의 MBC 드라마 ‘밤을 걷는 선비’는 주인공 뱀파이어 선비 역에 이준기가 낙점됐다.
이처럼 웹툰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진 가장 큰 이유는 소재 고갈의 측면이 크다. 대본의 중요성이 높은 국내 드라마에서 다양한 소재는 물론 대중성까지 갖춘 웹툰은 상호 보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KBS 드라마국의 함영훈 CP는 “‘미생’의 성공 여파도 있었지만 드라마는 결국 대본 싸움이고 신선한 스토리에서 경쟁력이 나오기 때문에 창의적이고 다양한 소재를 다룬 웹툰이 각광받는 것”이라면서 “요즘은 유료 결제를 하고 보는 이가 늘어날 만큼 웹툰이 대중화됐다는 것도 장점”이라고 말했다. 함 CP는 “최근 인터넷 포털사이트 다음과 업무협약을 맺어 KBS의 드라마 기획안 중에서 방송이 안 됐거나 공모전에서 아깝게 떨어진 작품을 웹툰화하고 반응이 좋으면 드라마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드라마의 절대 공급량이 늘어나면서 기존 작가군이 턱없이 부족해진 데다 대중의 반응이 실시간으로 검증된 소재라는 점도 방송사들의 구미를 당기게 하는 요소다.
하지만 웹툰을 드라마화할 때는 적지 않은 어려움이 따른다. 원작에서 너무 벗어나면 기존 팬들을 잃을 위험이 있고 매체의 차이를 무시하고 너무 비슷하게 가도 성공률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때문에 원작을 요리하는 작가와 연출자의 능력이 중요해졌다. 현재 방영 중인 KBS 금요 드라마 ‘오렌지 마말레이드’의 경우는 네이버에 연재된 웹툰을 12부작 드라마로 만들면서 원작에는 살짝 언급만 된 과거 부분을 사극으로 영상화하고 미래 부분을 재구성하는 등 참신한 시도로 눈길을 끌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에피소드 위주의 웹툰을 영상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실패를 겪는 경우가 많다. 특이한 설정에만 신경을 쓰다가 드라마의 뼈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는 우를 범하기 쉽기 때문이다. 상반기 방영된 웹툰 원작 드라마의 성적을 봐도 SBS ‘하이드 지킬, 나’와 tvN ‘호구의 사랑’, ‘슈퍼대디 열’ 등은 아쉬운 성적을 냈다.
드라마 평론가인 충남대 국문과 윤석진 교수는 “대부분 만화적이고 판타지가 강한 표현을 현실적인 드라마로 옮기는 데 실패하거나 만화의 병렬식 에피소드를 제대로 재구성하지 못할 경우 드라마로서의 생명력을 잃게 된다”면서 “소재주의가 빚어낸 현상으로 방송사들이 작가 양성 등 극본에 대한 투자를 하지 않고 쉽게 결과를 얻으려다 보니 웹툰 의존도만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 드라마 외주제작사 대표는 “원작에 대한 기대감이 인지도로 이어져 유리한 점도 있지만 독자들이 만화로 상상한 비주얼을 제대로 영상화하려면 결국 제작비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함 CP는 “웹툰은 디지털 기기로 자신이 원하는 호흡으로 볼 수 있지만 드라마는 시청자들이 따라갈 수 있는 흡인력 있는 구성이 더욱 요구된다”면서 “드라마는 웹툰보다 제작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 사전에 영상화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