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위기의 우리 사회에 필요한 미래 리더의 모습은

위기의 우리 사회에 필요한 미래 리더의 모습은

입력 2014-12-10 00:00
업데이트 2014-12-10 03: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래전략연구소 ‘2014 포럼’

지난 4·16 세월호 참사를 직후로 관료와 암흑가 집단인 마피아를 합친 ‘관피아’(관료+마피아)라는 신조어가 등장했다. 대기업 임원 출신이 공직에 들어오면 정부 혁신을 해낼 수 있으리라는 환상 섞인 기대 또한 만연하다. 또한 정부의 공식 체계 바깥에 있는 이른바 ‘비선 실세’가 권력을 농단하고 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때다.

9일 경북 포항공과대 포스코국제관에서 열린 ‘2014 미래전략포럼’에서 좌장을 맡은 조윤제(왼쪽 세 번째) 서강대 교수가 제1세션 ‘국가 엘리트 생성 메커니즘’ 주제에 대한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 제공
9일 경북 포항공과대 포스코국제관에서 열린 ‘2014 미래전략포럼’에서 좌장을 맡은 조윤제(왼쪽 세 번째) 서강대 교수가 제1세션 ‘국가 엘리트 생성 메커니즘’ 주제에 대한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 제공
권력의 리더십, 사회의 리더십이 표류하고 있는 상황에서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는 9일 경북 포항공과대 포스코국제관에서 ‘21세기 미래 리더는 어떻게 배출되는가’를 주제로 ‘2014 미래전략포럼’을 가졌다. 행정 및 민간의 엘리트 생성 메커니즘을 살피는 한편 혁신 방안을 고민하고 미래의 리더십 형태를 전망했다.

‘국가 엘리트 생성 메커니즘’에 대해 발제를 맡은 박길성 고려대 교수는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에서 한국은 발전국가에서 복지국가로, 산업사회에서 지식기반사회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있는 만큼 정부는 지속적으로 변화해야 하는 당위에 직면해 있다”면서 “행정 관료의 역할은 여전히 중요하고, 전문성을 갖출 수 있는 교육 제도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어떤 형태든 지금과 같은 단선형적인 고시를 통해 선발된 행정 관료들의 교육과정으로는 현 시대 상황에 많이 뒤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공무원, 혹은 관피아.’ 몇 년 전부터 초등학생도 장래희망을 ‘공무원’이라고 적을 만큼 공무원은 선망의 직업이었다. 그러나 꿈과 희망을 잃고 안정적인 신분만을 추구하는 세태로 비판받기도 했고, 일부 공무원들의 탐욕스러운 민낯이 드러나면서 공무원 전체는 사회적 질타의 대상이자 개혁의 대상으로 전락했다. 공무원의 선발 과정을 비롯해 교육 시스템을 개혁해 공직의 전문성과 개방성을 높일 것에 대한 주문이다.

류석진 서강대 교수는 ‘권력의 미래, 미래의 권력, 그리고 리더십’을 발제하면서 “개인 차원에서 의제 설정 권력이 강한 개인이 등장하고 있다면 미래의 리더십은 반응적이고 연결적인 리더십으로 구성돼야 한다”면서 “집단 차원에서도 네트워크 집단이 강화되고 있다면 이렇게 연결된 집단을 이끌 수 있는 창의적이고 공유적인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흥식 숭실대 교수 역시 우리 사회의 총체적인 리더십 위기를 지적한 뒤 “미래에서 필요로 하는 리더십은 (어느 분야, 어느 집단에서건) 민주적 리더십, 도덕적 리더십, 포용적 리더십, 개방적 리더십 등 네 가지 성격을 동시에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4-12-10 1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