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기발한 조선판 ‘왕자와 거지’… 후반 지루함 떨친 조연 명품연기

생김새가 똑같은 왕자와 거지가 서로 뒤바뀐 삶을 체험한다는 내용의 동화 ‘왕자와 거지’. 지난 8일 개봉한 영화 ‘나는 왕이로소이다’는 동화의 시대적인 배경을 조선시대로 옮긴 조선판 ‘왕자와 거지’다.

나는 왕이로소이다
역사 실록에 세종대왕이 되기 전 충녕대군의 모습이 엉덩이에 종기가 날 때까지 책만 읽고, 바깥 활동을 꺼리는 소심하고 나약한 인물로 그려졌다는 데서 착안한 영화는 충녕대군이 세자 책봉을 받은 뒤 세자 즉위식에 오르기까지 기록되지 않은 3개월 동안의 이야기를 다룬다.

영화는 역사적 사실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는 하지만 상상력으로 빚어낸 충녕대군과 노비 덕칠의 상반된 캐릭터가 부각되며 코미디가 상대적으로 강조됐다. 영화의 주요 내용은 하루아침에 신분이 뒤바뀐 왕과 거지가 벌이는 소동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태종(박영규)은 주색잡기에 빠진 장남 양녕(백도빈) 대신 책에 파묻혀 지내는 충녕(주지훈)을 왕세자로 책봉한다. 세자 즉위식 전까지 궁을 나가지 않으면 가만두지 않겠다는 양녕의 협박을 받은 충녕은 부담감을 이기지 못하고 어느 날 밤 궁궐 담을 넘는다.

그런데 때마침 담 밑에서 자신을 똑 닮은 노비 덕칠(주지훈)과 맞닥뜨린다. 사모하던 주인집 아씨(이하늬)가 역적의 딸로 궁에 끌려가자 술에 취해 찾아 나선 덕칠은 궁궐 담 밑에 쓰러져 있다가 충녕으로 착각한 호위무사인 황구(김수로)에게 끌려간다. 황구는 곧 덕칠의 정체를 알게 되지만, 세자의 빈자리를 메우기 위해 잠시 덕칠을 충녕의 대리로 내세운다.

하루아침에 노비 신분으로 전락한 충녕과 갑자기 왕세자 노릇을 하게 된 노비의 이야기는 분명 쉽고 흥미로운 소재다. ‘왕자와 거지’ 이야기를 우리에게 친숙한 왕 세종대왕에 접목한 기획력도 기발하고, 초반에 이를 풀어 가는 에피소드들도 억지스럽지 않고 소소한 웃음을 준다.

하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어느 정도 예상 가능한 전개와 내용이 교훈성으로 흐르면서 극은 점차 지루해진다. 캐릭터와 기획에만 기대기에는 한계를 보인 것. 세자와 노비 역을 오가는 주지훈은 1인 2역을 연기하며 노력했지만, 상반된 인물을 차별성 있게 연기하는 데는 다소 부족했다. 대신 조연으로 등장하는 박영규와 임원희, 백윤식, 김수로 등의 코미디 연기 내공이 극을 뒷받침한다. ‘선생 김봉두’, ‘여선생 vs 여제자’, ‘이장과 군수’ 등 코미디 영화를 주로 연출한 장규성 감독이 처음으로 사극에 도전했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