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독거노인 사랑잇기] “독거노인 관계회복 관심 필요 사회·이웃과 지속교류 도울것”

[독거노인 사랑잇기] “독거노인 관계회복 관심 필요 사회·이웃과 지속교류 도울것”

입력 2011-10-17 00:00
업데이트 2011-10-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

신창재(58) 교보생명 회장은 “보험은 사람을 존중하는 ‘휴머니즘’이 기본정신”이라며 “교보생명의 사회공헌활동은 어려운 이웃들이 건강과 돈, 지식의 결핍으로 인한 삶의 역경을 장기적으로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
신 회장은 또 건강과 노후생활, 교육복지 등 보험업과 밀접하게 연관된 사회적 이슈에서 실질적인 해결책을 찾는 데 힘쓰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신 회장과의 일문일답.



→독거노인 사랑잇기 사업에 참여하신 계기는.

-고령화, 핵가족화 등으로 독거노인이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다. 독거노인은 사회적 관계가 취약하고 육체적, 정신적으로 고립돼 살다 보니 매우 어려운 노후를 보내고 있다. 우리보다 먼저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일본의 경우 홀로 죽음을 맞이하는 고독사가 한 해 3만 2000명에 달하며, 큰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이는 조만간 우리에게도 닥칠 현실이다. 교보생명은 독거노인에게 안부서비스를 제공해 정서적 유대를 강화하고 긴급상황 발생에도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독거노인 사랑잇기’ 사업의 뜻에 깊이 공감, 참여하게 됐다.

→독거노인 사랑잇기 사업 외에 진행 중인 사회공헌활동은.

-2002년 창단한 ‘교보다솜이 사회봉사단’을 중심으로 짜임새 있고 차별화된 사회공헌활동을 펼치고 있다. 저소득 가정에서 태어난 이른둥이의 치료비를 지원하는 ‘다솜이 작은 숨결 살리기’, 저소득 여성 가구주를 전문 간병사로 양성해 경제적 자립을 돕는 ‘교보다솜이 간병봉사단’, 은퇴 노인의 일자리 제공과 사회 참여를 돕는 ‘다솜이 숲 해설 봉사단’, 임직원과 회사가 조성한 펀드로 소년소녀가정 아동을 지원하는 ‘사랑의 띠잇기’ 등 다양한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임직원들의 자원봉사활동도 활성화돼 있다. 현재 회사 내 임직원들의 봉사팀은 200여개에 달하며, 참여인원은 보험설계사까지 포함해 1만 1800여명이다. 이들 자원봉사팀은 아동·노인·장애인 관련 시설 등 지역의 사회복지단체 및 시설과 결연을 해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다.

→‘교보다솜이 간병봉사단’ 등은 독창적인 사업이다. 사업을 시작한 계기는.

-교보생명의 사회공헌활동은 항상 일시적 도움을 넘는 지원을 모색하고 있다. 지원 대상자들의 역량 개발을 돕고, 사회적 일자리를 마련해 줌으로써 사회적 나눔이 재생산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다. 정부로부터 ‘사회적기업’으로 인증받은 ‘교보다솜이 간병봉사단’(다솜이재단)과 ‘교보다솜이 숲 해설 봉사단’(숲 자라미) 등이 대표적이다. ‘사회적기업’이란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공익 목적을 수행하는 동시에 수익도 창출하는 기업을 말한다. 이 두 프로그램은 교보생명의 사회공헌활동으로 출발했지만, 이제는 간병과 환경교육 프로그램 등 전문 서비스를 제공하며 스스로 수익을 창출하는 사회적기업이 됐다.

→우리 사회가 독거노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은.

-독거노인들의 관계 회복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가족·이웃·사회와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독거노인들이 홀로 있지 않고 이웃과 사회의 관심 속에 살고 있다고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새로 준비 중이거나 계획 중인 사회공헌활동은.

-우리 이웃이 경제적, 정서적으로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것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앞으로도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관점에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아이디어와 사업들을 개발해서 일관성 있게 전개할 계획이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11-10-17 18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