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학교의 목적은 행복한 학교가 되는 것입니다. 우리 학생들이 학교생활을 즐겁고 행복하게 느끼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러려면 학교가 입시준비하는 곳이 아니라 인성교육을 하는 곳이어야 합니다. 나는 일류대학 합격률을 보지 않습니다. 어떻게 하면 학교가 포근하고 편안한 집으로 느끼도록 할 수 있을지 노력하고 있습니다.” 대전 D고등학교 이사장의 말이다.
“교사가 변하지 않고는 교육은 변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우리 학교는 교사를 교육하기 위하여 노력합니다. 이사장의 처지에서는 학생 교육이 우선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더욱 중요한 것은 교사 교육입니다. 교사를 교육하여 바꾸어 놓으면, 그 교사가 계속 학생을 잘 가르칠 것입니다. 창의적이고, 인성교육 방식을 터득한 선생님은 계속하여 창의적인 학생을 만들어 낼 것이기 때문에 교사에 투자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입니다.” 동두천 D고등학교 이사장의 말이다.
“인성교육은 교사부터 해야 합니다. 교사를 편안하게 해드려야 학생들에게 잘해줍니다. 내가 학교 다닐 때, 선생님이 이유 없이 짜증 내고 신경질 내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것은 선생님이 교장선생님으로부터 혼나고 와서 학생들에게 화풀이하는 것입니다. 우리 학교에서는 아침 교무회의 시간에 교사들에게 싫은 소리 하지 않으려 노력합니다. 교사들이 기분이 상하면 학생들에게 잘 대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다시 대전 D고등학교 이사장의 말이다.
우연히 들었던 두 고등학교 이사장의 대화가 아직도 내 가슴속에 생생하게 울리고 있다. 첫째로 놀란 것은 이처럼 학생과 교사를 위하는 학교재단이 많이 있다는 것이다. 그동안 나에게는 교육은 교장선생님이 하는 것이고, 학교재단은 교육을 고민하기보다 경영 효율을 추구하는 기관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나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학교는 가기 싫지만 할 수 없이 가는 곳이었다. 그러니 학생들이 학교에서 행복해진다는 것은 기대조차 할 수 없었다. 그런데 학생을 행복하게 해주려고 아침에는 교사를 야단치는 일도 삼간다니, 가슴에 잔잔한 감동의 물결이 이는 것을 느꼈다.
둘째로 느낀 것은 두 이사장 말씀이 너무 지당하다는 것이다. 교사는 계속하여 학생들을 길러낸다. 그런 교사를 변화시키지 않고서 교육이 바뀌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교사에게 창의적인 교육을 하는 교수법을 가르쳐야 하고 인성을 순화시키는 교육을 하게 해야 한다.
그러려면 교사를 가르치는 일이 우선이고, 교사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어야 한다. 교사들의 인성교육을 위하여 리더십과 윤리교육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학생’을 교육하는 것보다 ‘교사’를 가르치는 일이 더 중요하다는 말은 진정으로 맞는 것 같다.
이 대화를 들은 후부터 내가 담당하고 있는 과학영재교육연구원의 역할에 대하여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과학영재교육연구원은 과학영재를 교육하기 위한 교수법을 연구하고, 이를 우수 학생들에게 적용하는 과학캠프와 교사연수를 시행해왔다. 그런데 이제부터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하는 일 못지않게,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재교육 연수를 더욱 많이 실시해야 하겠다.
특히 과학교육은 더욱 그런 것 같다. 사실 생각해 보면 일선 교사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소양은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교사들은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과학기술을 접할 기회가 없었다. 그러니 학생들에게 과학적인 흥미와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기 어려울 것이다. 교사들을 더욱 많이 초대하여 첨단 연구시설을 보여주어야 하겠다.
‘자식에게 물고기를 주지 말고, 물고기 잡는 방법을 가르치라.’는 말이 있듯이, 직접 학생을 가르치려 하지 말고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를 교육하라는 것이다. 최근 교육과학기술부에서 교사들을 상대로 추진하는 창의 인성교육이 바로 이런 맥락인 것 같아 다행이라 생각된다. 앞서 거론한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참으로 선택 받은 학생이라 생각된다. 학교재단이 그렇게 노력하는데 행복해지지 않을 리 없을 것이다.
이광형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미래산업 석좌교수
“인성교육은 교사부터 해야 합니다. 교사를 편안하게 해드려야 학생들에게 잘해줍니다. 내가 학교 다닐 때, 선생님이 이유 없이 짜증 내고 신경질 내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것은 선생님이 교장선생님으로부터 혼나고 와서 학생들에게 화풀이하는 것입니다. 우리 학교에서는 아침 교무회의 시간에 교사들에게 싫은 소리 하지 않으려 노력합니다. 교사들이 기분이 상하면 학생들에게 잘 대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다시 대전 D고등학교 이사장의 말이다.
우연히 들었던 두 고등학교 이사장의 대화가 아직도 내 가슴속에 생생하게 울리고 있다. 첫째로 놀란 것은 이처럼 학생과 교사를 위하는 학교재단이 많이 있다는 것이다. 그동안 나에게는 교육은 교장선생님이 하는 것이고, 학교재단은 교육을 고민하기보다 경영 효율을 추구하는 기관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나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학교는 가기 싫지만 할 수 없이 가는 곳이었다. 그러니 학생들이 학교에서 행복해진다는 것은 기대조차 할 수 없었다. 그런데 학생을 행복하게 해주려고 아침에는 교사를 야단치는 일도 삼간다니, 가슴에 잔잔한 감동의 물결이 이는 것을 느꼈다.
둘째로 느낀 것은 두 이사장 말씀이 너무 지당하다는 것이다. 교사는 계속하여 학생들을 길러낸다. 그런 교사를 변화시키지 않고서 교육이 바뀌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교사에게 창의적인 교육을 하는 교수법을 가르쳐야 하고 인성을 순화시키는 교육을 하게 해야 한다.
그러려면 교사를 가르치는 일이 우선이고, 교사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어야 한다. 교사들의 인성교육을 위하여 리더십과 윤리교육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학생’을 교육하는 것보다 ‘교사’를 가르치는 일이 더 중요하다는 말은 진정으로 맞는 것 같다.
이 대화를 들은 후부터 내가 담당하고 있는 과학영재교육연구원의 역할에 대하여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과학영재교육연구원은 과학영재를 교육하기 위한 교수법을 연구하고, 이를 우수 학생들에게 적용하는 과학캠프와 교사연수를 시행해왔다. 그런데 이제부터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하는 일 못지않게,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재교육 연수를 더욱 많이 실시해야 하겠다.
특히 과학교육은 더욱 그런 것 같다. 사실 생각해 보면 일선 교사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소양은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교사들은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과학기술을 접할 기회가 없었다. 그러니 학생들에게 과학적인 흥미와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기 어려울 것이다. 교사들을 더욱 많이 초대하여 첨단 연구시설을 보여주어야 하겠다.
‘자식에게 물고기를 주지 말고, 물고기 잡는 방법을 가르치라.’는 말이 있듯이, 직접 학생을 가르치려 하지 말고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를 교육하라는 것이다. 최근 교육과학기술부에서 교사들을 상대로 추진하는 창의 인성교육이 바로 이런 맥락인 것 같아 다행이라 생각된다. 앞서 거론한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참으로 선택 받은 학생이라 생각된다. 학교재단이 그렇게 노력하는데 행복해지지 않을 리 없을 것이다.
2010-11-0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