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리뷰] ‘그들 각자의 영화관’

[영화리뷰] ‘그들 각자의 영화관’

정서린 기자
입력 2008-05-10 00:00
수정 2008-05-1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거장감독 35인의 기억 속 영화관은

“오렌지의 상큼한 향기, 스타킹 속 살결의 감촉, 욕조에 몸을 담그기 전의 기대감.” 중국의 왕가위 감독은 ‘이곳´을 이렇게 말했다.“어둠 속에서 서로 가까이 앉아 희망과 기대, 그리고 사랑을 함께 나누는 곳” 빌 오거스트 감독의 ‘이곳´에 대한 감상이다. 이 환상적인 곳은 도대체 어딜까.

1만원 안팎이면 찾을 수 있는 ‘영화관´이다.

지난해 60주년을 맞은 칸국제영화제가 거장들의 기억 혹은 상상 속 영화관을 불러냈다.‘그들 각자의 영화관´(15일 개봉)은 칸영화제 조직위원장 질 자콥이 직접 제작과 편집을 맡아 화제였던 영화다. 코언 형제, 테오 앙겔로풀로스, 기타노 다케시, 데이비드 린치, 로만 폴란스키….35명의 거장감독들이 참여해 32편의 단편으로 ‘그들만의 영화관´을 재축조했다. 디지털 영사기가 밀고 들어온 극장의 현실. 하지만 거장들의 마음 속 극장에는 여전히 털털대는 낡은 영사기, 눈물로 어룽진 순수한 관객들의 얼굴이 있었다.


# 스크린에 감독이 나온다면

‘아들의 방´으로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받은 난니 모레티 감독은 대놓고 카메라 앞에 앉았다. 영화관이라면 할 말이 많다.7살 난 아들은 진지한 사회고발과 삶의 통찰을 다룬 아빠 영화보다 ‘매트릭스´를 보겠다고 떼를 쓴다. 알았다고는 했지만, 아빠는 내심 섭섭하다.“아빠 영화는 그런 영화랑 다르단다.”“알아요. 근데 ‘매트릭스2´ 볼 거죠?” 감독의 냉소적인 유머가 배꼽을 쥐게 한다. 라스 폰 트리에 감독은 냉정한 킬러가 돼본다. 시사회 중 옆자리에서 떠드는 남자의 얼굴을 망치로 찍어 내린다. 관객들은 미동도 않는다. 라스 폰 트리에만의 기괴한 상상력이다. 기타노 다케시는 허름한 극장의 영사기사로 등장한다.

# 동심으로 돌아간 감독들

중국의 거장들은 동심으로 돌아갔다. 장이머우 감독에게 영화는 ‘축제´다. 그의 기억 속 ‘영화 보는 날´은 마을 전체가 잔치 준비에 한창이다. 앞니 빠진 동심은 종일 극장이 들어설 마당을 누비며 논다. 해가 뉘엿뉘엿 지고 어둠이 찾아들 무렵 아이는 하품부터 한다. 할아버지도 아낙도 영화를 보며 왁자하게 웃는 중. 돌아 보면 아이는 이미 잠들어 있다. 차이밍량 감독은 영화관에서 배 꽂이를 사주시던 할머니를 기억한다. 할머니가 내민 배를 아삭아삭 씹어먹던 기억이 지금의 그를 만들었다고 한다. 첸 카이거 감독은 페달을 밟아가며 채플린 영화를 보는 아이들의 웃음을 담았다. 영사 기사가 “이 놈들이 겁도 없이!”라고 윽박지르자 유일하게 남아 있던 한 아이가 말한다.“영화 끝까지 보면 안 돼요?” 알고 보니 앞을 못 보는 아이다.

영화란 만인의 ‘소모품´이자 ‘연인´이자 ‘위안처´라는 사실을 확인케 하는 작품이다. 하루 밥벌이를 끝낸 노동자가 빵 한조각을 씹으면서도 누릴 수 있는 소박한 행복, 시골 농민이 툭하면 끊기는 낡은 극장에서도 용케 건져 올리는 한줄기 위안. 그것이 ‘영화´였다.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2008-05-10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