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영화]미지의 코드

[토요영화]미지의 코드

강아연 기자
입력 2008-03-29 00:00
수정 2008-03-2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폐쇄된 관계의 ‘소통 실패’ 를 말하다

미지의 코드(EBS 세계의 명화 오후 11시20분) 미카엘 하네케 감독의 ‘미지의 코드’(원제 ‘Code Inconnu’,2000년)는 수수께끼를 내는 한 농아를 비추면서 시작한다. 주위를 둘러싼 아이들은 아무도 답을 알아맞히지 못한다. 이같은 수수께끼 같은 장면은 ‘소통 불가’라는 영화 전체의 모티프를 압축적으로 제시한다.

이미지 확대
배경은 프랑스 파리. 구걸하는 여인에게 지나가던 사람이 구겨진 종이를 던진다. 이 종이는 서로 다른 삶을 사는 여러 주체들을 잇는 연결고리가 된다. 안(쥘리에트 비노슈)은 영화 배우로 데뷔할 예정이고, 그녀의 남자친구 조르주(티에리 뉴빅)는 전쟁사진가로 늘 외국을 돌아다닌다. 조르주의 아버지는 농부인데, 또 다른 아들 장 역시 농장을 물려받을 생각이 없다.

농아학교 음악 교사인 아마두(오나 루 옌케)는 청각장애인인 여동생 때문에 이 직업을 택했다. 아프리카 출신인 아마두의 아버지는 택시를 운전한다. 구걸해서 번 돈을 고향으로 부치는 루마니아 출신 마리아는 가족과 시간을 보내기 위해 고향으로 출발한다.

이렇듯 영화는 시간적 혹은 극적 순서는 무시한 채 여러 인물들의 다양한 상황을 이리저리 옮겨다니며 훑는 형식의 실험을 했다. 언젠가 감독 자신도 이에 대해 “하나의 주제로 귀결되는 것을 거부하는 영화”라고 설명한 적이 있다. 파편화된 이야기들은 그 자체로 ‘관계의 폐쇄성’ ‘소통의 실패´ 라는 주제의식을 효과적으로 웅변한다.

연극 희곡과 텔레비전 대본을 쓰던 미카엘 하네케는 45세에 ‘일곱 번째 대륙’(1989년)을 만들며 영화감독으로 데뷔한다.TV에서 활동한 이력을 경험 삼아 이후 ‘베니의 비디오’‘우연의 연대기에 관한 71개의 단편들’로 이어지는 폭력 3부작을 통해 폭력과 미디어의 관계에 관한 고유의 성찰을 보여준다.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시각은 1997년 칸국제영화제 본선 경쟁부문에 진출한 ‘퍼니 게임’에서도 잘 드러난다.

작품을 발표할 때마다 국제적인 반향을 일으킨 미카엘은 2001년 ‘피아니스트’로 칸영화제 남녀 연기상과 심사위원 대상,2005년 ‘히든’으로 칸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하는 등 상복도 푸짐하게 누렸다.15세 이상 관람가.

강아연기자 arete@seoul.co.kr
2008-03-29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