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낭만적 사랑의 열병/백지연 문학평론가

[문화마당] 낭만적 사랑의 열병/백지연 문학평론가

입력 2004-03-11 00:00
수정 2004-03-1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얼마 전 즐겨보던 연애 드라마 한 편이 막을 내렸다.신분의 격차가 있는 네 명의 연인들 사이에 존재하는 사랑의 심리학이 매우 흥미로웠던 드라마라서 결말이 퍽 궁금했다.어느 정도의 작위적인 설정은 예상했지만 인물들의 죽음으로 장식된 드라마의 마지막 장면은 그동안 부풀려왔던 환상을 한번에 박살내기에 충분했다.질투에 눈멀어 연인을 죽일 수밖에 없었던 비장함은 접어두고라도 여주인공이 피흘리며 죽어가면서도 ‘사랑해요.’를 내뱉는 장면은 심란하기까지 했다.허탈하게 다가오는 이 고백은 우리가 경멸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떨쳐버릴 수 없는 사랑의 고정관념을 확인시키는 듯했다.

금지된 사랑을 돌파하려는 열정이 결국 죽음을 만들어내는 극단적 설정은 근대의 연애소설에서 자주 등장하는 내용이다.많은 사회학자들은 낭만적 사랑에 대한 환상이 근대사회가 호소한 개인의 자의식에서 본격적으로 발화된다고 지적한다.신문물이 유입되던 1920∼30년대 한국문학작품의 중요한 테마 중 하나가 자유연애였던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신분질서를 초월하는 금기의 사랑은 봉건적 질서를 벗어나는 개인적 의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통로였던 것이다.

1920년대 조선사회의 성과 사랑에 대한 문화적 풍속도를 고찰한 권보드래의 책 ‘연애의 시대’를 읽으면 비극적인 연애를 보여준 흥미로운 사건 세 가지가 소개된다.‘독살미인 김정필’ 사건과 기생 강명화의 자살,윤심덕·김우진의 동반자살은 1920년대의 3대 연애사건이었다고 한다.부호의 아들과 사랑에 빠졌으나 주위의 반대에 상심해 애인의 눈 앞에서 음독자살한 기생 강명화 사건은 연애 열풍의 절정을 보여주는 일로 기록된다.더불어 현해탄에 몸을 던진 윤심덕·김우진의 이야기도 두고두고 회자될 만큼 유명한 사건이었다.

근대 사회의 도입부를 장식했던 사랑의 열풍은 불합리한 제도와 질서를 넘어서려는 개인의 합리적 의지를 표방하는 것이었다.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대중문화 속에 꿈틀거리는 사랑의 상징들은 무수한 소비상품으로 전환되고 있다.즉물적으로 소비되고 탐닉될 수 있는 문화적 상품이 바로 사랑인 것이다.현실에서는 존재하지 않기에 더 격렬하고 가슴아픈 사랑의 공식은 숱한 드라마와 영화,소설 속에서 변주되는 기본적 공식이다.

평범하고 가난한 여자가 재력을 소유한 멋진 외모의 남자와 우연히 인연을 맺고 사랑에 빠진다는 흔한 공식은 사춘기에 즐겨 읽던 하이틴 로맨스 시리즈에도 줄기차게 등장한다.감수성이 예민한 10대에 읽는 하이틴 로맨스는 신데렐라 콤플렉스를 노골적으로 자극하면서 낭만적 사랑의 열병을 마음껏 상상하게 해준다.괴팍하고 오만하지만 여린 내면을 갖고 있는 부유한 남자가 가진 것이라곤 자존심 하나밖에 없는 여성에게 매료되는 과정은 갑갑한 일상을 잊는 그 무엇인가를 던져준다.

하이틴 로맨스가 시시해져버린 성인의 세계에서도 사랑의 환상은 무수한 가면을 쓰고 찾아온다.연애의 무한한 가능성에 열려 있는 발랄한 20대의 젊은이들은 오히려 사랑 이야기에 목매지 않는다.소설과 영화를 보면서 눈물짓고 가슴이 미어지는 것은 ‘아줌마’와 ‘아저씨’들이다.죽음까지도 무릅쓰겠다는 지고지순한 순정의 공식은 우리들이 버리지 못하는 연애의 환상을 자극한다.나이가 들면서 대책없는 사랑타령을 늘어놓는 소설과 영화에 가끔씩 빠져들고 싶은 것도 이런 욕망 때문이다.‘알면서도 속는 것’,그것은 낭만적 사랑의 열병이 남기는 하나의 금언이다.

백지연 문학평론가˝
2004-03-11 4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