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 학생의 ‘나홀로 유학’이 드디어 연간 1만명을 돌파했다는 소식이 들려온다.실제로 2,3년 전부터 외국에서 교육 과정을 마치고 편입한 학생들을 대학 강의실에서 만나는 일이 부쩍 많아졌다.
외국에서 근무하거나 유학한 부모를 둔 소수의 학생들이 경험했던 유학과 어학연수의 과정을 이제는 다양한 학생들이 체험하고 있는 것이다.
오래 전 나의 학교 시절에 외국에서 살다 온 학생들은 대부분 외교관,해외지사,교수의 자녀들이었다.요즘 아이들이 들으면 비웃겠지만 이들이 외국에서 가져온 학용품이나 장난감을 선망의 눈초리로 바라보던 기억도 어렴풋이 난다.이제는 시절이 바뀌어서 방학 때마다 외국 여행과 어학연수를 다니는 가족들도 많아졌다.중·고등학교의 수학여행 역시 중국이나 일본으로 다녀오는 것이 흔한 일이 되었다.
경제적 불황이 가슴을 짓누르는 현실이지만 자식 교육을 향한 한국 부모들의 열기는 더욱 강해지고 있다.현진건 소설의 한 구절을 흉내내어 “왜 그 몹쓸 사회가 ‘유학’을 권하는고?”라고 되물어보기도 하지만유학과 해외연수가 중산층 이상의 계층에 편입해 살아가기 위한 자격증으로 탈바꿈한 지는 오래되었다.그 과정에 한국의 공교육에 대한 불만과 불신이 뿌리깊게 자리하고 있는 것은 물론이다.
엄마의 입을 빤히 쳐다보며 웃고 옹알이하던 아기들이 자기 힘으로 책을 고르고 읽는 나이로 차근차근 성장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그러나 숨가쁜 입시위주의 경쟁 속의 아이들은 모국어의 감수성을 풍부하게 확장하고 사고하는 여유로운 문화 체험을 하지 못한다.이들은 사교육의 열풍 속에 뺨이 창백해진 채 퀭한 눈과 굽은 허리를 억지로 추슬러 여기저기 학원으로 뛰어 다닐 뿐이다.패스트푸드로 끼니를 때운 병든 신체 속에서 책을 읽고 주위를 돌아볼 수 있는 힘을 어떻게 만들어낼 것인가.
이런저런 이유로 이 땅의 교육현실을 벗어나려는 부모의 마음도 이해할 수밖에 없다.그러나 한국의 열악한 공교육 과정을 비난하며 유학과 이민을 떠난 부모와 아이들은 결국 소외계층의 삶을 견디지 못하고 다시 돌아온다.이 과정에서 풍부한 모국의 언어도,새로운 나라의 언어도 둘 다 제대로 익히지 못한 상처투성이 미아가 발생하는 것은 당연하다.
선생의 눈에 모국어를 더듬거리며 영어 단어를 어설프게 늘어놓는 청년들이 안쓰럽게 비칠지라도 또래의 친구들에게 해외유학파는 부러움의 대상이다.타고난 환경 덕분에 일찌감치 외국 문물을 경험하고 그것을 통해 사회의 경쟁체제 속에서 우월한 자리를 갖는다는 생각 때문일 것이다.그러나 정작 돌아온 유학생의 상당수는 그 어느 체제 속에도 온전히 젖어들지 못한 채 언어와 문화의 혼돈 속에서 가슴앓이하고 있다.
낯선 땅에서 소외계층의 삶을 감당하기를 거부하고 장밋빛 미래를 꿈꾸며 돌아온 청년들에게 우리는 과연 무엇을 보여줄 수 있을까.잃어버린 모국어의 시간 대신 우리가 확인시켜줄 수 있는 것은 학점경쟁과 고시의 열기,만성적 청년실업뿐이다.
엉성한 국어 맞춤법과 초급 영어가 기묘하게 섞여 있는 학생들의 시험 답안지 속에는 갈갈이 찢겨져 신음하는 국적없는 언어들이 소용돌이치고 있다.나의 아이가 자라 청년이 될 때 외국어와 유학만이 살 길이라고부르짖는 부모가 되지 않겠노라고 선뜻 장담할 수 없는 미래의 교육현실이 두렵게만 다가오는 요즘이다.
백지연 문학평론가
외국에서 근무하거나 유학한 부모를 둔 소수의 학생들이 경험했던 유학과 어학연수의 과정을 이제는 다양한 학생들이 체험하고 있는 것이다.
오래 전 나의 학교 시절에 외국에서 살다 온 학생들은 대부분 외교관,해외지사,교수의 자녀들이었다.요즘 아이들이 들으면 비웃겠지만 이들이 외국에서 가져온 학용품이나 장난감을 선망의 눈초리로 바라보던 기억도 어렴풋이 난다.이제는 시절이 바뀌어서 방학 때마다 외국 여행과 어학연수를 다니는 가족들도 많아졌다.중·고등학교의 수학여행 역시 중국이나 일본으로 다녀오는 것이 흔한 일이 되었다.
경제적 불황이 가슴을 짓누르는 현실이지만 자식 교육을 향한 한국 부모들의 열기는 더욱 강해지고 있다.현진건 소설의 한 구절을 흉내내어 “왜 그 몹쓸 사회가 ‘유학’을 권하는고?”라고 되물어보기도 하지만유학과 해외연수가 중산층 이상의 계층에 편입해 살아가기 위한 자격증으로 탈바꿈한 지는 오래되었다.그 과정에 한국의 공교육에 대한 불만과 불신이 뿌리깊게 자리하고 있는 것은 물론이다.
엄마의 입을 빤히 쳐다보며 웃고 옹알이하던 아기들이 자기 힘으로 책을 고르고 읽는 나이로 차근차근 성장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그러나 숨가쁜 입시위주의 경쟁 속의 아이들은 모국어의 감수성을 풍부하게 확장하고 사고하는 여유로운 문화 체험을 하지 못한다.이들은 사교육의 열풍 속에 뺨이 창백해진 채 퀭한 눈과 굽은 허리를 억지로 추슬러 여기저기 학원으로 뛰어 다닐 뿐이다.패스트푸드로 끼니를 때운 병든 신체 속에서 책을 읽고 주위를 돌아볼 수 있는 힘을 어떻게 만들어낼 것인가.
이런저런 이유로 이 땅의 교육현실을 벗어나려는 부모의 마음도 이해할 수밖에 없다.그러나 한국의 열악한 공교육 과정을 비난하며 유학과 이민을 떠난 부모와 아이들은 결국 소외계층의 삶을 견디지 못하고 다시 돌아온다.이 과정에서 풍부한 모국의 언어도,새로운 나라의 언어도 둘 다 제대로 익히지 못한 상처투성이 미아가 발생하는 것은 당연하다.
선생의 눈에 모국어를 더듬거리며 영어 단어를 어설프게 늘어놓는 청년들이 안쓰럽게 비칠지라도 또래의 친구들에게 해외유학파는 부러움의 대상이다.타고난 환경 덕분에 일찌감치 외국 문물을 경험하고 그것을 통해 사회의 경쟁체제 속에서 우월한 자리를 갖는다는 생각 때문일 것이다.그러나 정작 돌아온 유학생의 상당수는 그 어느 체제 속에도 온전히 젖어들지 못한 채 언어와 문화의 혼돈 속에서 가슴앓이하고 있다.
낯선 땅에서 소외계층의 삶을 감당하기를 거부하고 장밋빛 미래를 꿈꾸며 돌아온 청년들에게 우리는 과연 무엇을 보여줄 수 있을까.잃어버린 모국어의 시간 대신 우리가 확인시켜줄 수 있는 것은 학점경쟁과 고시의 열기,만성적 청년실업뿐이다.
엉성한 국어 맞춤법과 초급 영어가 기묘하게 섞여 있는 학생들의 시험 답안지 속에는 갈갈이 찢겨져 신음하는 국적없는 언어들이 소용돌이치고 있다.나의 아이가 자라 청년이 될 때 외국어와 유학만이 살 길이라고부르짖는 부모가 되지 않겠노라고 선뜻 장담할 수 없는 미래의 교육현실이 두렵게만 다가오는 요즘이다.
백지연 문학평론가
2004-01-08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