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찾지못한 그날의 전우이름 소위「김○○의묘」6ㆍ25를 말한다

오늘도 찾지못한 그날의 전우이름 소위「김○○의묘」6ㆍ25를 말한다

송태섭 기자 기자
입력 1990-06-25 00:00
수정 1990-06-2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예비역 준장 황규만씨의 「안타까운 40년」/안강지구 배속뒤 첫 전투서 산화/묘비에 이름 못새겨 한으로 남아/현충일ㆍ추석날엔 동작동 찾아 「무언의 대화」

25일은 민족상잔의 비극을 불렀던 6ㆍ25동란 40주년이 되는 날.

이날을 하루 앞둔 24일상오 서울 동작동 국립묘지에서는 색다른 행사 하나가 있었다.

동쪽 제2묘역에 있던 한 무명용사의 비석을 들어내고 새 비석을 세운 일이었다.

그 비석에는 「육군소위 김 의묘」라고 새겨있었다.

묘비번호 1659호인 이 묘비는 동작동 국립묘지에 있는 5만여 순국영령들의 묘비 가운데 이제 단하나뿐인 이름없는 묘비이다.

『국립묘지관리소측에서 묘비의 좌대를 모두 교체한다기에 양해를 얻어 김소위 묘의 비석과 좌대를 바꾸고 상석도 새로 놓게 됐습니다. 하지만 끝내 고인의 완전한 이름을 새겨넣지 못해 죄스러울 따름입니다』

6ㆍ25때 눈앞에서 숨져간 이름모를 전우의 시신을 거두었다가 이곳에 안장시켜 지금껏 지켜온 예비역육군준장 황규만씨(60ㆍ범양상선부회장)는 「김」자뒤에 남은 빈칸을 못내 아쉬워했다.

황씨와 이 묘비의 주인 「김소위」와의 생사를 뛰어넘은 전우애가 시작된 것은 6ㆍ25가 터진지 석달째인 50년 8월 경북 안강지구전투의 한 격전장에서였다.

10기생으로 육사에 입학했다가 1년만에 전쟁을 만난 황씨는 수도사단 제26연대 2중대 1소대장으로 적에게 빼앗긴 경북 월성군 도음산 385고지의 탈환 임무를 띠고 고지 남쪽 능선밑에 참호를 파고 진을 펴고 있었다.

연일 공방전이 벌어졌고 8월27일 새벽무렵 적의 대공세가 시작됐다.

상오7시쯤 1연대 소속의 1개 소대가 지원을 왔다.

20살 안팎의 신입소대장은 황소위에게 평안도사투리로 『시흥보병학교 갑종간부 1기생이 김소위』라고 자신을 소개했다.

두 소대장이 인사를 나눈지 5분남짓 지났을까….

김소위는 『지형정찰을 하겠다』면서 참호밖으로 나갔다.

순간 1백여m 거리에서 대치하고 있던 적들은 사정없이 기관총을 쏘아댔고 김소위는 머리에 총탄을 맞고 그 자리에서 숨지고 말았다.

그에게는 손거울 하나와 몇가지 소지품밖에 신원을 알수있는 아무런 유품이 없었다.

황소위는 급한대로 소총대검으로 이웃 소나무등걸밑을 파고 김소위의 시신을 묻은 뒤 돌하나를 얹어놓고는 퇴각해야만 했다.

황씨가 김소위를 다시 찾은것은 14년의 세월이 지난 64년5월.

종전후 줄곧 전방부대근무로 눈코 뜰새없이 바빴던 황씨는 그해 대령으로 승진하면서 어느정도 여유가 생기자 그동안 한시도 잊지 못했던 「그날의 전우」를 찾아 나섰다.

위생병 3명과 함께 지도를 펴들고 온종일 어슴프레한 기억을 더듬은 끝에 황씨는 마침내 경북 월성군 강동면 단구리 기계북쪽 340고지의 한 능선에서 그 소나무와 그 돌을 찾아냈다.

황씨는 곧 육군참모총장에게 청원을 했고 같은달 27일 「김소위」를 국립묘지(당시 국군묘지)에 안장할수 있었다.

김소위의 나머지 이름 두자를 알아내기 위해 「6ㆍ25전사자 명부」를 일일이 찾아보는 등 할수있는 모든 노력을 다했다.

그러나 어디에서도 당시 안강지구전투에서 전사한 제1연대소속 「김소위」는 찾을 수가 없었다.

황씨는 그때부터 「김소위」의 유일한 유족이자 친구가 돼 「김소위의 묘」를 돌보기 시작했다.

황씨는 한해도 거르지 않고 설날과 현충일ㆍ추석날에 어김없이 「김소위」를 찾아 참배했으며 마음이 울적할때면 이곳에 와 이름없는 옛 전우와 「영혼의 대화」를 나누며 마음을 가라앉히기도 했다.

『죽은 뒤에도 김소위와 나란히 누워 인연을 이어 나가는게 소원』이라는 황씨는 자신의 직접 만든 전우의 새 묘비를 어루만지며 눈시울을 붉혔다.<송태섭기자>
1990-06-25 15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